×
News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생활/문화
연예
스포츠
오피니언
지역뉴스
대구&경북
|
울산&경남
Special Section
D;Con
헤럴드 밀리터리
●
실시간 뉴스
100% 여론조사 꺼내든 野…문호 열었지만 ‘경쟁력’ 고심
인물난에 가까스로 10명 넘긴 후보군…공수처장 ‘검증의 시간’
文, 서둘러 ‘당선인’ 칭하며 “남북이 한반도 당사자”…북미에 동시 메시지
美 코로나 누적 확진자 1000만명 돌파 …바이든 “암흑의 겨울에 직면”
‘대선 불복’ 트럼프의 분탕질…‘눈엣가시’ 국방장관 전격 경질·2024년 재출마 시사
포토
구독신청
뉴스레터
증권방송
생활/문화
러시아 수입과일 비중 85%…씨없는 국산 감귤 인기 [aT와 함께하는 글로벌푸드 리포트]
러시아는 수입 과일의 비중이 높은 나라이다. 특히 한국산 감귤에 대한 현지 반응이 긍정적이기 때문에 향후 한국산 과일의 중요 수출 지역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전했다. 러시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과일은 바나나로, 지난 2019년 기준 전체 과일 판매량...
2021.01.18 10:59
인도인 입맛 사로잡은 실험실 배양 먹거리 ‘클리어미트’ [aT와 함께하는 글로벌푸드 리포트]
인도의 세포기반 식품기업 클리어미트(Clear Meat)가 고기육질 세포기반의 닭고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대중화를 위한 가격 조절에도 성공했다. 세포기반 식품이란 육류나 어류, 해산물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먹거리다. 세포 배양실이 농장이고, 과학기술자가 농부인 셈이다. 식량위기와 환경문제, 동물복지...
2021.01.18 10:58
73개국 달군 DIMF 개막콘서트, 美 공연 OTT플랫폼 진출
‘DIMF 온택트’를 선보이는 ‘브로드웨이 온 디맨드(이하 BOD)’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계 공연 시장의 셧다운(shutdown)이 이어지는 가운데 온라인을 통해 공연 콘텐츠를 선보이고자 출발했다. 현재 90여 개국 2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 공연 실황과 백스테이지 투어, 토크쇼 등 공연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유, 무...
2021.01.18 10:01
김은희 작가 추천 도서 101배 판매 상승…‘TV 예능셀러’ 위력
연초부터 TV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책들이 속속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TV 예능셀러’ 위력을 과시하고 있다. 교보문고 1월 2주간 베스트셀러를 살펴보면 TV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단숨에 분야 1위에 오른 책들이 눈에 띈다. 먼저 셀럽들이 인생책을 소개하고 기부하는 ‘비움과 채움-북유럽’프로그...
2021.01.18 09:56
‘트래블 버블’은 ‘비격리 여행 권역’으로
‘트래블 버블’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두 국가 이상의 방역 우수 지역이 서로 자유로운 여행을 허용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버블’은 거품(Bubbles) 안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되 외부와는 왕래를 차단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트래블 버블’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비격리 여행 권...
2021.01.18 09:40
국립극장 등 국립공연장 운영 재개·국립예술단체, 공연 중단 해제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지난 달부터 운영을 중단했던 서울시 소재 국립문화예술시설이 다시 문을 연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12월 8일부터 선제적으로 중단했던 서울시 소재 국립문화예술시설의 운영을 19일부터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립극장을 ...
2021.01.18 09:11
공연 재개 못하는 뮤지컬계…거리두기 2.5단계 재연장에 또 연기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공연계의 셧다운 기간이 길어지며 업계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 달부터 공연을 멈췄던 대극장 뮤지컬들이 여전히 공연 재개를 알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가 또 다시 2주 연장됨에 따라 업계는 한 번 더 공연을 미뤘다. 지난 16일 정부...
2021.01.18 08:57
아벨 콰르텟, 낭만주의 음악으로 새해 연다…정기연주회 ‘안단테 칸타빌레’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전 세계 유수 실내악 콩쿠르를 석권한 현악 사중주단 아벨 콰르텟이 네 번째 정기연주회를 연다. 소속사 목프로덕션은 아벨 콰르텟이 다음 달 20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정기연주회 ‘안단테 칸타빌레’로 관객과 만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공연에 앞서 2월 18일에는 광주 유·스퀘...
2021.01.18 08:08
성남시 ‘아카이브’ 수집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성남시는 오는 25일까지 기록 보전해야 할 유무형의 도시역사문화 관련 자원을 추천받는다고 18일 밝혔다. 아카이브(archive, 기록자료) 구축을 위한 조사대상을 선정하려는 절차다. 아카이브는 도시발전과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사라져가는 문화적 소산을 모아 미래의 역사문화 자산으로...
2021.01.18 06:28
서울시향, 슈텐츠 수석객원지휘자·윌슨 응 부지휘자 등 3명 재계약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서울시립교향악단은 마르쿠스 슈텐츠(56) 수석객원지휘자와 윌슨 응(32) 수석부지휘자, 데이비드 이(33) 부지휘자 등 3명을 재계약 했다고 17일 밝혔다. 2017년부터 4년간 수석객원지휘자로 활동한 티에리 피셔(64)와는 상호 협의를 거쳐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서울시향은 “미국 유타...
2021.01.17 16:11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정보
연재 기사
[홍길용의 화식열전] 인플레 우려?…긴축발작의 교훈
인플레이션이 시장의 화두다. 주가와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달러 값은 오름세다. 경기개선 기대로 미국 10년 국채수익률(yield)이 상승하면 연방준비제도(Fed)가 완화적 통화정책에 제동을 걸고, 실물경제의 이자부담이 높아져 기업 실적을 압박해 주식 매력을 낮출 것이란 시나리오다. 달러강세는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한다. 그 동안 달러약세는 한국 등 신흥국의...
홍길용의 화식열전
갤럭시S21 중국 가격 85만원…“한국이 14만원 더 비싼 까닭” [IT선빵!]
[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갤럭시S21 시작가격, 한국은 99만9000원인데, 중국은 85만원?” 삼성전자가 상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1의 중국 시장 가격을 80만원대로 책정했다. 국내 시작 가격이 99만9000원인 것과 비교하면 약 14만원가량 저렴하다. 국내 모델은 저장용량 258기가바이트(GB)부터 시작하지만, 중국선 이보다 낮은 126...
IT선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