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상님도 해외 따라간다…피자·스파게티 가능“
이미지중앙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설 차례상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성균관유도회 총본부의 최영갑 회장은 설날을 맞아 해외여행 가는 것도 좋지만 차례는 빠뜨리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추석과 설 차례상 간소화를 추진해 온 최영갑 회장이 명절 연휴를 활용한 해외 여행에 대해 대세를 거스를 순 없다해외에 가서 현지 음식으로 간소하게 조상을 기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권했다. 차례를 아예 안 지내는 것보다는 낫다는 취지다.

최 회장은 8YTN'뉴스라이더'와 인터뷰에서 주부들의 명절 스트레스와 관련해 "문헌에 따르면 민속 명절에는 '그 계절에 나는 과일이나 채소만 올려라'고 돼 있다. 상차림도 없고 아무런 기준도 없는데 잘못돼서 내려오다 보니까 성대하게 차려지게 됐다"며 잘못된 관습에 따라 주부들 일거리만 늘렸다고 지적했다.

앞서 성균관유도회총본부는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와 함께 2022년과 지난해에 걸쳐 추석·설 차례 간소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차례상 기본 음식은 송편(추석) 또는 떡국(), 나물, 구이,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이며 만들기 수고로운 전은 꼭 올릴 필요가 없다.

여기에 육류, 생선, 떡을 추가할 수 있는데 상차림은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할 수 있다.

그동안 차례상을 바르게 차리는 예법처럼 여겨왔던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조율이시’(대추···)도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는 표현으로, 상을 차릴 때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

조상의 위치나 관계 등을 적은 지방 대신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도 되며, 차례와 성묘 중 어느 것을 먼저 할지는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면 된다.

이 같은 간소화 방안을 두고 최 회장은 새로운 문화를 만든 게 아니라 과거 우리 조상들이 했던 문화를 원래대로 찾아가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실제로 예법 지침서인 주자가례에는 차례상에 술 한잔, 차 한잔, 과일 한 쟁반을 차리고 술도 한번만 올리고 축문도 읽지 않는다고 쓰여 있다.

조선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 선생은 밀가루를 꿀과 섞어 기름에 지진 과자와 같이 만들기 번거롭고 비싼 음식인 유밀과를 올리지 말라는 유훈을 남겼다.
이미지중앙

간소한 표준 설 차례상. (성균관유도회총본부 제공)


조선 중기 학자인 명재 윤증 선생도 기름으로 조리한 전을 올리지 말라고 한 바 있다.

최 회장은 '차례상에 피자나 스파게티 같은 것을 올려도 되는지'라는 물음에 "그것을 올리라고 권장은 못 하지만 제사를 지내고 싶은데 이것밖에 할 수가 없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했다.

"1인 가구가 많이 늘었는데 혼자 조상을 기리고 싶다 하면 할 수 있다""권장은 하지 않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는 해도 된다"고 문을 열어 놓았다.

많은 사람이 설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을 떠나 차례를 건너뛰는 일이 종종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선 "가기 전에 집에서 간단하게 제사를 지낸 후 가시거나 차례를 모시고 가면 좋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귀신이 어딘들 못 가냐, 해외에도 다 쫓아간다""해외에 가서 형편에 맞게끔 간소하게 차려놓고 같이 조상을 기리고 가족과 화목을 다지는 그런 계기를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고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미국이든 유럽이든 가서 약소하게 차례상을 차려 놓고 조상을 기리면 된다고 말했다.

ks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