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해안 최초 해양보호구역 지정…울릉도(독도) 영해 기점 무인도서 관리 활성화 방안 마련 모색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심포지엄 개최
이미지중앙

27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주최로 열린 울릉도(독도) 영해기점 무인도서 관리 활성화 방안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있다(울릉도독도해양연구 기지 제공)


[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지난 2014동해안 최초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관리 활성화 및 울릉도(독도) 영해 기점 무인도서 관리 활성화 방안 마련을 모색하기위해 해양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28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 기지에 따르면 해양연구기지 다목적홀에서 관련 전문가와 박상연 울릉부군수, 최병호 울릉군의회 의원, 울릉도독도해녀해남보전회 김수자 회장, 어업인, 주민해설사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및 울릉도(독도) 영해기점 무인도서 관리 활성화 방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서우락 해양환경공단 해양보호구역처 처장의 한국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 김윤배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대장의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및 울릉도(독도)영해기점 무인도서 관리현황과 과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민원기 박사의 동해, 울릉도(독도) 해양보호생물 관리 현황과 과제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공간환경연구실 육근형 실장의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해양보호구역’, 강릉원주대 김형근 명예교수의 탄소중립과 해양보호구역 : 해조류를 중심으로
우시산 변의현 대표의 해양폐기물의 새활용 제품 개발 사례6개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종합토론에는 발표자와 경일대학교 부동산지적학과 이범관 교수, 해양생태기술연구소 손민호 대표, 울릉군 해양수산과 박수동 팀장, 한국국토정보공사 울릉지사 이종호 지사장, 울릉도 청년기업 노마도르 정대웅 플로거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지난 201412, 울릉도 주변해역의 해양보호생물의 서식지ㆍ산란지를 보호하고, 산호, 해초 등 우수한 해저 경관을 보전ㆍ관리할 목적으로 울릉도 주변 해역을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한바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울릉도 해양보호구역의 체계적 관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발표됐다.
특히 단계적 용도구역제 도입 등을 통한 해양생물다양성 및 수산자원량 증가 방안, 해양보호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쓰레기 관리 방안 등이 심도있게 논의됐다.

또한 해양보호구역내에 위치한 해양생태계의 핫스팟인 무인도서 중 영해기점 무인도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울릉도 연안에 공암
, 일선암 등 11, 독도 연안에 큰가제바위, 보찰바위 등 7개의 영해기점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울릉도 9, 독도 7개등이 인도서에 해당한다. 영해기점 무인도서의 지적공부 등록, 미지명 영해기점 무인도서의 지명 부여 등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도 강조됐다.

이날 심포지엄에 앞서 울릉군 주관으로 열린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관리위원회회의에서는 2024년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지정 10주년을 맞아 내년도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대회를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인 울릉도에서 개최되도록 신청하기로 했다.

울릉군은 지난 20225월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내에 울릉도해양보호구역방문자센터를 개관한 바 있다.

김윤배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대장은 울릉도는 독도와 함께 동해 해양생태계의 오아시스로서,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해양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뛰어난 수중경관과 함께 다양한 해양보호생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4년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지정 1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10년의 성과와 한계를 면밀히 분석하며, 울릉군과 협력해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대회 울릉도 유치를 통해 울릉도(독도) 해양생태계의 과학적 가치와 보전 필요성을 널리 알리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25월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내에 개관한 울릉도 해양보호구역 방문자센터는 울릉도(독도)의 해양생물 표본 170여점을 비롯해, 해양보호생물 서식실태 및 독도바다사자 발굴 뼈 소개, 울릉도(독도) 수중 실감 디지털 영상관, 울릉도 해양쓰레기 체험존, 트릭아트 체험존 등으로 구성돼 있다.


ks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