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청사. |
[헤럴드경제(순천)=박대성 기자] 10년만에 시정에 복귀한 노관규 전남 순천시장이 취임 6개월 만에 첫 행정조직 개편을 마무리하고 내년 1월부터 시행키로 했다.
1일 순천시가 마련한 조직개편은 ▷도시공간 재창조 ▷신산업 생태계 구축 ▷청년 지역 정착 지원 등 민선 8기 비전 실현에 역점을 두고, 지방소멸 시대에 대응과 부서별 기능 중복 등에 따른 비효율 개선에 중점을 뒀다.
구체적으로 3개과를 신설하고 2개과를 분리 신설하며, 4개과 폐지, 1개과를 통합해 총 11국 84개과(4급·5급 기구수는 유지)로 개편된다.
신설되는 과는 일류도시기획단, 청년정책과, 식품위생과이며 교통과는 교통정책과와 교통관리과로 분리되고, 생태환경과도 기후에너지과와 환경관리과로 나눠진다.
전임 허석 시장이 직적 민주주의 사업 발굴을 위해 만들었던 '시민주권담당관'을 비롯해 아동청소년과, 공공시설과, 보건사업과는 폐지키로 결정됐다.
기존 투자일자리과와 지역경제과는 경제진흥과로 통합되고, 정부 부처 기구에 맞게 종전 자치행정국은 행정안전국으로, 일자리경제국은 미래산업국으로, 안전도시국은 도시디자인국으로 바뀌게 된다.
일부 과의 명칭도 바뀌는데 자치혁신과 → 자치행정과로 변경되는 것을 비롯해, 신청사건립추진단→신청사건립과, 미래산업과→신성장산업과, 정보통신과→디지털정책과, 체육진흥과→체육산업과, 체육시설관리소→체육시설운영과로 각각 변경된다.
또한 가족보육과→보육아동과, 장애인복지과→가족복지과, 도시과→도시계획과, 도시재생과→도시공간재생과, 보건위생과→보건의료과, 감염병관리과→질병관리과, 생태환경과→환경관리과, 산림과 → 산림자원과 등이다.
특히 202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앞두고 박람회조직위에 핵심 인력 63명이 파견됨에 따라 대(大)팀제로 정비해 일하는 실무 인력을 늘리는데 초점을 뒀다.
1팀장에 1팀원만 있는 소규모팀은 없애고, PRT 무인궤도차인 '스카이큐브', 코로나 재택치료 등의 종식을 앞두고 유사한 기능의 팀은 통합했다.
시는 일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략기획실’과 같이 ‘일류도시기획단’을 신설해 부서별 융·복합이 필요한 광역 자원화시설·예술의전당 등 메가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구상 설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부서장 책임하에 팀별로 상황에 따라 업무를 배분·조정하는 ‘기업형 운영방식’을 도입해 정책결정 구조의 유연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기업형 팀제의 사례를 보면, 일류도시기획단 내에 일류도시1·2팀, 허가민원과 개발1·2팀, 도로과 도로정비1·2팀, 도시공간재생과 도시재생1·2팀 등이다.
자료 취합 등 내부적인 부서 조정 기능에 치우친 국서무팀을 복지정책팀, 도시정책팀, 보건정책팀, 농업정책팀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책·기획·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경제, 복지, 문화관광, 보건, 농업 등 각 분야 총괄 계획을 수립하고 국 내 부서 간 유기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화했다.
각 부서에 흩어진 업무를 일원화해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계획도 세웠다.
‘대표음식 개발’의 경우 ‘농업기술센터’로 이관해 식자재 생산부터 농가교육, 음식개발까지 연계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또한 기획예산실, 보건소, 시민복지국에서 따로 추진했던 출산·양육·인구정책 업무를 '보육아동과'로 이관해 시민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승주읍에 있는 농업기술센터 농업분야는 순천형 스마트팜 모델 발굴과 농업 혁신을 위해 스마트팜추진단(TF)을 신설하고, 농업정책과장 겸임으로 운영한다.
과수·채소·유통·축산·기술보급 등 전 부분에 걸쳐 스마트 농업이 도입 될 수 있게 하고 미식개발 업무를 관광과에서 농식품유통과로 이관해 식자재 생산·관리부터 미식 보급까지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대재해법 시행, 이태원 사고 등 시민의 안전이 주요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시민안전 총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총괄과를 편입해 '행정안전국'으로 상향 배치키로 했다.
시에서는 조직개편 준비와 함께 민선 8기 주요시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도록 국소별 청사 재배치, 분장 사무 정리 등 후속 조치를 함께 준비 중이다.
시 관계자는 "팀 간 칸막이를 줄여 업무 협업을 도모하고,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실무 직원이 늘어남에 따라 민원 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대된다"며 "앞으로 도시의 미래를 위한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공간 중심 도시 정책 추진으로 남해안 벨트 허브 기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