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춘향과 논개의 초상화가 그리도 닮은 이유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이어령 지음 김태완 엮음/ 파랑북

한때 전북 남원과 경남 진주 소재 사당에 각각 있는 춘향과 논개의 초상화가 닮아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생존 시기도, 사는 지역도 다른 이들이 어떻게 쌍둥이처럼 외모가 비슷한 지를 두고 갑론을박이었다. 두 미인도에 대한 미스터리는 의외의 인물로부터 답을 찾을 수 있다. 바로 작고한 지 2년이 된 고(故) 이어령(1933~2023) 선생을 통해서다. 이어령의 유작 시리즈 ‘한국인 이야기’ 중 천지인 3부작 마지막 권인 신간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은 한국인의 얼굴과 신체적 특징, 미인의 기준 등이 형성된 과정에 대해 흥미로운 고찰을 시도한다.

저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특징인 ‘작은 눈과 낮은 코, 적은 털, 큰 머리’ 등은 시베리아 바이칼호의 혹독한 추위 때문에 비롯됐다. 뜨거운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현생 인류가 유라시아를 지나 시베리아를 건너오면서 추위에 가장 많이 노출된 얼굴이 코는 낮아지고 눈두덩이는 두꺼워지며 적응했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얼굴은 ‘나그네가 된 원숭이’가 빙하기의 혹한을 견뎌낸 일종의 인류적 ‘훈장’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인간의 얼굴이 타고난 DNA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민낯인 자연에 ‘문화’가 덧입혀져 비로소 얼굴이 완성된다. 같은 기원을 가진 인류가 각기 다른 모습을 하며 사는 것도 바로 얼굴에 문화가 입혀졌기 때문이다. 그 문화는 표정이나 종교, 화장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성형수술이 될 수도 있다. 저자는 한국인이 서양인들에 비해 얼굴 표현이 적어 회자되는 ‘한국적 무표정’ 역시 희노애락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문화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얼굴이 유전자 뿐 아니라 문화에도 영향을 받다보니 미인의 기준도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과거 미인의 기준은 그 시대의 여성 초상화를 보면 알 수 있는데, 고구려 수산리 고분벽화의 여자 주인공과 조선시대 신윤복의 ‘미인도’는 그 모습이 사뭇 다르다. 고구려의 미녀는 큰 눈과 강한 턱을, 조선시대의 미녀는 섬세하고 가냘프며 하관이 작은 얼굴을 하고 있다. 영토 확장을 하던 고구려는 진취적인 외모가, 세도정치로 국운이 쇠퇴하던 조선시대엔 얼굴 자체보다 모성애와 같은 심성을 미의 기준으로 삼아 미인의 기준이 다른 것이라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그렇다면 앞서 언급한 춘향과 논개의 초상이 닮아 있는 것도 설명이 가능하다. 춘향은 지아비에 대한 절개를 지켰고, 논개는 왜장을 껴안고 투신했던 그 시대의 의로운 여인들이었다. 따라서 초상화 역시 수려한 외모만 표현한 게 아니라 그들의 기개를 강조하다 보니 외양이 엇비슷해진 것 같다는 게 저자의 추정이다.

신소연 기자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