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죽은 상권도 되살리는 ‘지역 상품권’ 마법… “능사는 아냐” 우려도
인명사고 난 신림동, 이태원 등서 상권회복 상품권 발행
10%, 20% 높은 할인율에 소비자 호응
지자체 특별교부금 예산 사용…“형평성 문제 적어”
서울 관악구 신림역 4번출구 인근 골목길 모습[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인명 사고가 난 상권 방문은 꺼려지는 것이 소비자들의 인지상정이다. 누군가는 비극을 맞이한 그곳에서 유흥을 즐기는 것은 죄스러운 일일 수도 있다. 문제는 상인들은 여전히 그곳에서 영업을 해야하는 상황이란 점이다. 서울시나 각 구청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할인 상품권을 발행하며 소비 촉진에 안간힘이다.

20일 서울시와 관악구에 따르면 신림역 상권회복 상품권의 2차 특별발행이 지난 18일자로 결정됐다. 판매는 1월 5일부터 기존 서울페이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번 상품권 발행규모는 100억원 규모로 종전 20억원 대비 5배 풀린다. 하지만 할인율은 20%에서 10%로 줄었다.

관악구 관계자는 “9월에 1차 발행시 상품권이 7분만에 완판됐다”며 “소비자들 호응도 높았고, 소상공인에게도 도움이 됐지만 ‘효과가 미미했다’라는 판단하에 내년 1월에 더 큰 규모로 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차 발행된 상품권의 약 30%가 사용됐다고도 덧붙였다.

신림역 상권회복 상품권은 관악구 내에서도 신림동·서원동·신원동 소재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는 한정된 상품권이다. 지난 7월 신림역 4번출구 인근상가 골목에서 벌어진 흉기 난동 사건으로 한 명이 숨지고 3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으로 인해 이 일대를 찾는 손님이 뚝 끊기면서 상인들이 고통을 호소했다.

실제로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에 따르면 신림역이 포함된 관악구 전체의 3분기 외식업 매출액(726억원)은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1억원, 19억원이 감소했다. 소매업 매출액(1013억원)도 전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5억원, 89억원 줄어들어 타격이 심했다.

상권에 연관된 부정적인 이미지를 하루빨리 타개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다시 활발하게 돌아다니며 소비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관악구 관계자는 “왜 이 3개동에 대해서만 상품권을 발행하느냐는 분이 간혹 있지만, (흉기난동)사건에 대해서 모두 인식을 하고 있어서 상황과 배경을 설명하면 이해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신림역 인근의 한 밥집 사장도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손님 많다”며 “매달 관악구에서 나와서 제로페이나 법인카드로 상품권 금액만큼 포스기에 한번에 결제해주고 가기 때문에 제 입장에선 손님이 개인 신용카드 긁는 것이랑 똑같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라도 손님이 와야, 또 가게 안에 손님이 있는 것을 보고 다른 사람들도 들어오기 때문에 (상품권은)매우 좋은 정책인 것 같다”고 반겼다.

지난해 사상 최악의 압사사고가 벌어진 이태원에서도 이태원 상권회복 상품권이 두 차례 발행돼 총326억원 규모가 팔렸다. 지난 19일 기준으로 이중 246억원이 가맹점에서 결제돼 75%가 사용됐다. 상품권이 가져온 소비자 유입 효과가 분명히 있었다는 방증이다.

이태원 역시 상권이 한동안 부침을 겪었다. 젊은 층, 외국인 소비자가 홍대,연남동 상권으로 빠져나가면서 썰렁한 모습을 보였다. 또래들이 여럿 희생된 곳에서 돈을 쓰며 노는 것이 심리적으로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용산구는 빠른 상권 회복을 위해 1차 때 10%의 할인율로 발행했다가 2차 때 할인율을 20%로 늘렸다. 구 관계자는 “소비자에게 좀 더 많은 혜택을 드리기 위해서 할인율을 높이기로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10%, 20% 할인에 대한 부담은 각 자치구가 서울시로부터 받은 특별조정교부금에서 충당한다. 예컨대 소비자가 서울페이 애플리케이션에서 50만원을 결제하면 55만원권, 또는 60만원권 상품권이 지급되는데, 이때 각 차액인 5만원, 10만원을 자치구가 특별교부금 예산으로 집행하는 것이다. 관악구의 경우 신림 상권 회복 상품권 1차 발행으로 4억원을 부담했어야 했다.

전문가들은 자치구 자체 예산으로 구내 상권을 살리는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앙정부가 일부 지역을 돕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 바람직하지 않지만 지자체가 자체 재원을 통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은 상당히 장려할 만하다”며 “다만, 향후 비슷한 일이 있을 때마다 경직적으로 상품권 발행에만 기대는 형태가 되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