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직원 월급도 못 줄 판” ‘84억’ 적자 나락 빠진 공공병원…어쩌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습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정부를 믿고 희생을 요구했던 저희 의료원장들이 잘못했습니다.”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이 비상이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 대응 선두에 선 이후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초기 공공병원들은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됐다. 기존 환자들은 타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후 이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병상가동률이 하락했다. 진료할 환자들이 오지 않다보니 의사들도 떠났다. 자신의 전문역량이 떨어질까 하는 우려에서다.

올해 35개 지방의료원의 손실이 ‘약 2938억원’에 달할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일선 공공병원들은 기능 회복을 위한 지원을 호소하고 있지만, 내년 예산안을 논의 중인 국회는 묵묵부답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코로나19 당시 최일선에서 역할을 했다. [연합]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전국 85개 지방의료원 평균 병상가동률은 53%(올해 8월 기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 2019년 78.4% 대비 약 25% 하락했다.

병상가동률이 떨어지면서 병원 경영은 더욱 힘들어졌다. 35개 지방의료원의 손실은 약 2938억원(올해까지)으로, 병원 당 ‘약 84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당시 환자 소개→ 코로나19 이후 더딘 환자 회복→ 의료진 이탈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일부 의료원에서는 “직원 월급주기도 힘든 곳이 속출할 것”이란 곡소리마저 나온다.

조승연 전국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은 “팬데믹이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공공병원의 고난은 그때부터 시작이었다”며 “지친 의료진은 떠났고, 단골 환자는 다른 병원으로 간 채 돌아오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문제는 내년도 예산안 논의가 한창인 국회에서 공공병원 지원 논의가 지지부진하다는 점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관련 예산을 3022억원으로 증액했지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는 합의가 이뤄지지 못 했다. 마찬가지로 기획재정부도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것이 지방의료원의 지적이다.

공공병원 지원에 대한 국민 여론도 나쁘지 않다. 보건의료노조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공공병원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92.6%였다.

‘공공병원이 정상화될 때까지 계속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77.1%로 나타났다.

지방의료원은 기능을 회복하기까지 ‘최소 3년’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팬데믹 시기 공공병원의 역할이 두드러졌다는 점을 들어 호소하고 있다.

조 회장은 “한 연구결과를 보면 병원 정상화 기간은 3~4년인데, 재정여건상 버텨내기 너무 긴 시간”이라며 “지역 공공병원의 안정적 운영없이 지역 필수의료 정상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k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