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 기술로 탄소배출 감축 박차
전 산업·국민생활에 디지털 기술 접목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전 산업 부문에 걸쳐 탄소배출 감축에 나선다. 특히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에 적용할 저전력·고성능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부문 자체의 탄소배출 감축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이 23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 방안’은 ▷전산업 부문의 탄소감축 촉진 ▷디지털 부문 고효율화·저전력화 ▷그린 디지털 생태계 구축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6개 과제가 담겼다.
먼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에 접목할 AI·빅데이터·디지털트윈 등 디지털 기술을 개발해 산업 전반에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공급 차원에서는 솔루션 개발사의 사업 모델을 컨설팅하고, 우수 모델은 탄소시장에 대한 방법론 등록을 지원해 전문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수요 차원에서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디지털 전환 도입을 지원하고, ESG경영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활용으로 증가하는 디지털 부문 자체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우선 저전력·고성능 데이터센터 기술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서버·저장장치·랙 등 컴퓨팅 IT장비 에너지 효율화 ▷냉각·공조 및 전력 설비 등 기반 시설의 저전력화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최적화를 위한 통합제어 솔루션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네트워크를 저전력화하기 위해 ▷전력효율 극대화를 위한 5G, 6G 소재·부품·장비 ▷네트워크 전력을 절감하는 지능형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 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민간에 탄소중립 관련 데이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부처 간 협의를 통해 공공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고, 민간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유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탄소중립 관련 데이터를 편리하게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탄소공간지도 등의 플랫폼도 고도화할 방침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청정에너지 이용확대, 스마트모빌리티 확산, 녹색항로 및 항구의 구축·연결 등 APEC 차원의 특별 이니셔티브를 제안하고 대한민국이 기후격차 해소에 책임있게 기여해 나갈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이날 제5차 전체회의에서 안건을 발표한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탄소중립은 미래를 위한 약속”이라면서 “디지털 기술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화해 기후위기에 직면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가 모범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joz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