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의대 정원 19년 만에 확대...정부, 내주 확대 규모·방식 발표
2025년도 대입부터 적용
대국민 조사 24% "1000명 이상 늘려야"
의협 "의대 정원 일방적 통보 안돼"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계자들이 공공의대 신설과 의대 정원 확대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지난 2006년 이후 3058명으로 묶여 있는 의대 입학 정원이 19년 만에 확대된다.

정부는 다음주 구체적인 확대 규모와 방식, 연도별 확대 일정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복지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 대해서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사 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13일 정부와 의료계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주 후반 의대 정원의 구체적인 확대 규모와 함께 확대 방식, 연도별 확대 일정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정원 확대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5년도 대학입시부터 적용된다.

의대정원은 2000년 의약분업에 반발한 의사단체의 요구로 10% 줄어들었다. 2006년 이후에는 3058명으로 묶여 있는데, 19년만인 2025년 늘어나게 된다. 그간 증원 규모로는 의약분업으로 줄어들었던 351명(10%)를 다시 늘리는 방안, 정원이 적은 국립대를 중심으로 521명 늘리는 방안 등이 거론돼 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

다만 의대 정원 확대 찬성 여론이 거센 데다 정부가 그동안 의료계 뿐 아니라 시민사회, 전문가들과 장기간 논의를 거쳐오며 근거를 쌓아왔다는 점에서 이보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지난 2020년 9월 의정합의 결과에 따라 지난 1월부터 14차례에 걸쳐 대한의사협회(의협)과 의료현안협의체 회의를 진행하며 의대정원 확대 등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 8월에는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 산하에 한국소비자연맹, 새로고침노동자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의사인력 전문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의사인력 전문위원회를 꾸려 논의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의대정원 확대에 대한 여론이 조성됐다고 보고 있다. 2021년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6명으로, 전체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낸 ‘2023 대국민 의료현안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정원을 얼마나 늘려야 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4.0%(241명)가 1000명 이상이라고 답했다. 300∼500명 늘려야 한다가 16.9%(170명), 500∼1000명 15.4%(154명), 100∼300명 11.5%(115명)이었다.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20.2%(203명) 뿐이었다. 응답자의 56.3%가 현재 정원의 약 10% 이상을 증원해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교육부 산하에 있는 국립대병원을 복지부 산하로 이동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국립대병원을 지역완결형 의료체계의 핵심적 역할을 하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 대해서는 의협 등 의사 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의협은 의대 정원 문제와 관련해 “필수·응급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결 조건은 의사 수 (증원)보다 분배”라고 강조하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의협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의대정원 발표 얘기를 들어본 적 없다”며 “의정합의에 따라 의대 정원을 일방적으로 통보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00년 매년 400명씩 10년간 의대정원을 4000명 늘릴 계획을 발표했지만 의사 파업으로 추진을 중단한 바 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