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 韓 경제 2.1% 성장, 금리인하는 하반기부터” [머니뭐니]
하나금융경영硏, ‘2024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발간
韓 경제 2023년 1.3% 성장 추정
건설 부진, 수출·민간소비 회복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한국 경제를 압박하는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高) 현상이 내년 하반기에야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12일 ‘2024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내년 경제 성장률은 2.1%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2.4%), 한국은행(2.2%), KDI(2.3%)보다 낮을 뿐더러, 잠재성장률(2.0%) 수준이다.

3高 완화되지만 저물가·저금리 복귀는 어렵다…내년 성장은 2.1%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내년 중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글로벌 통화긴축이 종료될 것으로 봤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구조적 변화로 물가·금리·환율의 수준 자체는 과거와 높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원/달러 환율 또한 수출 모멘텀 약화, 해외투자 증가 등의 요인으로 새로운 레벨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예상한 올해 성장률 추정치는 1.3%이었다. 올해는 고물가, 고금리 등이 국내 경제를 압박하면서 성장률을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개선된 2.1% 성장을 예상했다.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및 주요국 금리인상 기조 종료, 제조업 경기 개선 등에 힘입어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지난 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

민간소비는 경기 회복 및 금융여건 완화에 따른 소비 심리 개선과 물가안정에 따른 실질소득 개선 등으로 회복세는 이어갈 것으로 봤다. 다만 억눌렸던 수요가 살아나는 ‘펜트 업(pent-up effect) 효과’가 약화되고, 고용 및 임금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제약요인으로 내년엔 2.2%(2023년 2.0% 추정)로 완만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올해 부동산 경기 둔화로 선행지표가 부진한 점 등을 감안할 때 내년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2023년 0.2%, 2024년 –0.3%)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투자 확대, 비 정보기술(IT) 부문의 차세대 기술 선제 투자 등으로 올해 –1.7%에서 내년 3.0%로 상승 전환할 것으로 봤다.

부산항 일대. [연합]

수출(통관 기준)의 경우 글로벌 재화 및 제조업 수요 회복, 단가 상승 및 IT 수요 증가로 올해 -8.0%에서 내년 8.2%로 플러스(+) 전환을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올해 3.6%에서 2024년 2.6%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봤다.

오현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024년 국내경제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해 큰 폭의 둔화에 따른 기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크지 않다”며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성장동력 창출 등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안보 점검회의에서 발언 중인 모습. [연합]
내년 금리·환율 상고하저…“하락속도는 더딜 수도”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물가 위험 잔존 및 가계부채 부담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현 수준(3.5%)의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수준이 2%대로 안정화되는 내년 하반기 중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전환을 확인한 후 후행적으로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판단했다.

시장금리는 미국 정책금리 고점 인식이 확산되고 긴축으로 인한 미국의 성장둔화가 가시화되면서 연중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국고3년(평균)을 기준으로 내년 상반기 3.70%, 하반기 3.33%을 제시했다.

윤석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2024년 이후 물가 압력 완화 및 국내외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시장금리는 상고하저 흐름이 예상된다”며 “정기예금 재유치 경쟁 및 정부의 은행채 발행한도 폐지에 따른 순발행 증가 우려 등은 금리 하락세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의 경우에도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봤다. 원/달러 환율(평균)은 내년 상반기 1293원, 하반기 1268원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내외 불안요인들이 이어지고, 연준의 통화긴축과 중국 경기 회복의 불확실성 등으로 원/달러 환율의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