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르멘의 플러팅·돈 호세의 스토킹…시대성 반영한 ‘카르멘’? [고승희의 리와인드] 
서울시극단 연극 ‘카르멘’
자유로운 카르멘과 스토커
현대 감수성 맞게 재해석
서울시극단 연극 ‘카르멘’ [세종문화회관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세 남녀가 있다. 사랑도 삶에도 자유로운 여자, 한 남자와의 사랑에 ‘올인’하는 또 다른 여자, 오랜 사랑을 떠나 새로운 사랑에 몸부림치는 남자. 엇갈린 마음은 왜곡된 사랑의 태도를 낳고, 그것은 뒤틀린 관계의 비극으로 향한다.

‘카르멘’이 다시 태어났다. 1845년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원작 소설이 세상에 나온 이후 180년 가까이 고정된 여성상, 남성상을 보여줬던 이 작품이 2023년 연극 무대에서 새로운 인물상을 제시했다. 서울시극단의 연극 ‘카르멘’(10월 1일까지)이다.

‘카르멘’은 대대로 팜 파탈(femme fatale·치명적인 여자)의 상징이었다. 원작 소설을 무대에 올려 가장 명성을 떨친 작품인 조르주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의 초연 이후 여주인공은 ‘착한 남자’를 파멸케 한 ‘악녀’였다. 건실한 군인 청년 돈 호세는 ‘살인’까지 저지르며 비극적 결말을 만든 장본인이었음에도 이 작품에서 남자는 피해자로 그려졌다.

‘카르멘’은 시대에 따라 다른 여성이었다. 치명적인 아름다움은 기본값. 세상의 모든 남성을 굴복시켜 향락에 빠지게 하는 ‘요부’ 이미지는 카르멘이 안고 있는 상징적 정체성이었다. 이후 ‘카르멘’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진 것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성(性) 감수성의 변화를 맞으면서다. 페미니즘이 대두되며 ‘카르멘’의 여성상이 남성 중심의 시선에서 그려졌다고 보는 인식이 커졌다.

서울시극단 연극 ‘카르멘’ [세종문화회관 제공]

연극 ‘카르멘’은 급진적이거나, 파격적인 해석은 아니다. 원작 훼손에 대한 논쟁 없이 적절한 선에서 캐릭터의 재해석이 나왔다. 달라진 사회상과 남녀 사이에 빈번하게 벌어지는 현대 범죄와 분위기가 반영됐다. 연출을 맡은 고선웅 서울시극단장은 “카르멘을 죽인 돈 호세는 그러지 말았어야 했고, 카르멘에겐 잘못이 없고, 그의 명예회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작품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카르멘과 돈 호세의 첫 만남. 원하는 사랑은 당연히 낚아 채고, 설사 실패하더라고 쿨하게 돌아서는 여자 카르멘. 그의 앞에 어리숙하고 성실한 군인 돈 호세가 등장한다. 첫 만남부터 카르멘은 단번에 알았다. 자신에게 새로운 사랑이 찾아왔다는 것을. 카르멘을 부인하는 돈 호세 앞에서 끊임없이 유혹의 대사를 날린다. “나는 새인데, 불쌍하지 않나요? 날개가 꺾이면 날지 못하는데…” 카르멘을 거부하는 돈 호세에게 쉴 새 없이 건네는 말들은 고도의 전략이다. “눈은 거짓말하지 않아, 넌 나를 사랑해.” 이것은 ‘플러팅(flirting, 상대에게 호감을 갖고 유혹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일까, ‘가스라이팅’일까. 결국 마음을 굴복당한 돈 호세는 자신만을 바라보는 지고지순한 약혼녀 미카엘라를 외면사고 카르멘의 세상으로 다이빙한다.

사랑의 시작은 뜨거웠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카르멘과 돈 호세는 서로에게 그새 빠졌다. 하지만 사랑은 야속하다. 상대의 마음은 내 마음 같지 않다. ‘위기의 순간’에 변심한 카르멘의 사랑은 속절없이 멀어지고, 돈 호세의 마음은 걷잡을 수 없는 욕망으로 치닫는다.

서울시극단 연극 ‘카르멘’ [세종문화회관 제공]

연극은 ‘현대적 감수성’에 맞게 재해석 했다고 하나, 원작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 작품엔 ‘온전한 인물상’은 없다. 사랑에 미성숙한 세 사람의 왜곡된 행동이 110분 내내 이어진다. 카르멘의 ‘새로운 사랑’인 투우사 루카스 만이 “집착은 사랑이 될 수 없다”며 딱 한 번 정상적인 대사를 던지나, 그 울림 역시 와닿지 않는다.

카르멘과 돈 호세를 향한 고착된 시선 역시 여전하다. ‘자유’를 갈망하는 카르멘은 사랑 앞에서 상대의 마음을 가지고 노는 ‘나쁜 여자’처럼 보이고, 사랑에 배신 당한 돈 호세는 스토커로 돌변해 카르멘을 옥죄어 와도 상처입은 영혼처럼 보인다. 자신과 맞지 않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차린 카르멘의 LTE급 변심은 돈 호세가 받아 들이기엔 너무도 짧은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밀수꾼으로 쫓기다 부상 입은 동료(레몬)의 생사를 두고 대립한 타이밍에 등장한 카르멘의 변심은 그가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라는 생각을 심어주진 않는다. ‘스토킹 실인’이 시시각각 불거지는 때에 시의성 있는 논의를 무대로 가져왔음에도 연극 안에 뿌리깊게 깔려 있는 인물들에 대한 고정된 인식과 시선은 지우지 못했다. 돈 호세만을 바라보는 미카엘라 역시 상대의 감정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의 사랑에 취해 어리석은 결말을 맞는다.

서울시극단 연극 ‘카르멘’ [세종문화회관 제공]

비극은 여전하다. 세 사람의 사랑은 모두 잘못된 방식이기에, 결말은 처참하다. 돈 호세의 스토킹과 위협에 굴하지 않고, “어차피 내가 갈 길, 뒷걸음질은 싫다”는 여주인공은 “발에 맞지 않는 구두는 싫다”고 외치다 죽임을 당한다. 돈 호세는 가질 수 없는 사랑을 살인으로 얻는다. 원작에서 “내가 카르멘을 죽였다”는 대사를 연극에선 “내가 카르멘을 가졌다”로 달라졌다. 돈 호세의 사랑이 집착과 소유였다고 분명히 규정한 것이다. 사랑을 가지고 스스로 목숨을 바치는 돈 호세, 그 사랑을 잃고 자신의 목숨을 걸고 마는 미카엘라. 이 작품 안에 ‘성숙한 사랑’을 하는 사람은 없다. 참담한 사랑의 끝, 생의 비극과 무관하게 무대는 아카시아 향과 밝은 빛이 가득 찬다. 난데없이 등장한 성스러운 연출은 왜곡된 사랑을 미화하는 것처럼 다가온다. 마침표를 찍을 때까지, 이 작품에서 카르멘이 성공적인 명예회복을 했는지는 의문이다. 때문에 연극은 굉장히 찝찝하다.

작품에서 가장 훌륭한 아이디어는 단순한 무대였다. 네모난 무대 안에 들어온 원형 무대를 따라 시간의 흐름과 사랑이라는 감정의 흐름, 그것의 변화를 표현한 것은 영리했다. 시적인 대사는 받아들이기에 따라 부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으나, 한 마디 한 마디를 곱씹을 수 있어 흥미로운 요소였다. 다만, 문학적 대사는 도리어 인물의 심리를 온전히 드러내는 데에는 약점으로 작용했다. 정확한 대사 전달엔 성공했으나, 인물의 내면 묘사를 100% 그려내진 못했다.

s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