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대면진료, 도미노 좌초위기
닥터나우·나만의닥터 사업 축소
서비스 중단 이어 쇠퇴 이어져
의료법 개정안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면서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사업을 대폭 축소할 예정이다. 사진은 비대면진료 모습 [헤럴드DB]

비대면진료 업계를 대표하고 있는 닥터나우와 나만의닥터가 결국 사업 축소에 나선다. 초·재진, 약 배송 등을 포함한 의료법 개정안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면서 더는 버티기 힘들다는 검토 끝에 나온 결정으로 알려졌다.

타다, 로톡 등에 이어 ICT와 접목한 신규 플랫폼 서비스가 기존 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좌초되는 일이 반복되는 형국이다. 업계 선두인 두 업체의 사업축소 결정은 향후 비대면진료 업계 전반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관측된다.

비대면진료 업계는 이미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시장 초기 단계인 만큼 애초부터 뚜렷한 수익원이 없었던 비대면진료 업체들은 지금까지 투자 유치를 통해 버텨 왔다. 하지만 대표적인 비대면진료 기업을 제외하면 다른 기업들은 투자 유치도 힘들고, 시장성 자체도 점차 악화, 추가 투자 유치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종료되는 이 달을 끝으로 닥터나우와 나만의닥터가 사업을 대폭 축소한다. 비대면진료 사업 축소 범위는 시범사업을 기준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시범사업이 재진 환자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처럼 초진 환자를 거르는 등 대상자를 제한한다.

나만의닥터는 더 큰 폭의 사업 축소가 예상된다. 9월부터 비대면진료 접수 자체를 받지 않고, 의료기관 예약 등 대면진료 중개에만 집중할 예정이다.

닥터나우 관계자는 “비대면진료 대상자가 아닌 사람이 플랫폼을 이용하지 못 하게 할 예정”이라며 “9월부터는 플랫폼에서 불법 사례가 나오면 안 되기 때문에 어떻게 범위를 축소할지는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사업 축소를 결정한 건 당장 9월부터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종료된다는 데에 있다. 게다가 비대면진료 관련 의료법 개정안 논의가 여전히 재진 환자 중심, 약 배달 금지 등에 머물러 있다는 점 등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소위에서 재진 중심, 약 배송 금지 등 내용이 담긴 의료법 개정안에 반대했고, 이보다 강도 높은 제재안 발의를 준비 중에 있다.

전 의원이 발의할 예정인 의료법 개정안의 방향은 ‘비대면진료 축소’다. 재진 환자 중에서도 보건복지부 장관이 비대면진료가 필요하다고 고시한 자 중 1회 이상 대면진료를 받은 자(현행 재진 환자), 전화를 제외한 화상진료, 마약류·비급여·오남용 우려 의약품 중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의약품 처방 금지 등이 고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관계자는 “(전 의원안의) 전체적인 방향성은 비대면진료를 현행보다 축소시키는 것”이라고 전했다.

4월 기준으로 닥터나우 520억원, 나만의닥터 72억원 등 투자를 유치했다. 다만 향후 비대면진료 서비스 자체가 축소되면 지속적인 투자 유치가 이뤄질 지 의문이다. 사업 축소를 결정한 닥터나우, 나만의닥터 외에도 이미 썰즈, 파닥, 체킷, 바로필, 엠오, 메듭 등이 비대면진료 서비스를 중단한 바 있다.

비대면진료 업계 관계자는 “IT스타트업 특성상 빠르게 성장해서 다음 투자를 받아야 하는데, 시장성 자체가 지속적으로 악화하다 보니 줄도산이 우려된다”며 “돈을 버는 회사도 아니다 보니 투자액만 날릴 판”이라고 토로했다. 고재우 기자

k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