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물가가 밀어올린 분양가...입주권도 껑충
둔촌 84㎡ 입주권 19억대 매매
개포아이파크 4억 가까이 상승
자재비·인건비 상승 영향 커
분양권 전매제한 규제 완화와 함께 최근 서울과 수도권의 분양가가 가파르게 오르자 입주권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연초 미분양을 걱정하던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인 올림픽파크포레온의 국민평형 입주권은 분양가 대비 6억원의 웃돈이 붙었다. 또 동작구 흑석동 ‘흑석리버파크자이’의 전용 59㎡ 입주권은 웃돈이 7억원까지 올랐다. 사진은 서울 동작구 흑석리버파크자이 전경. [헤럴드DB]

서울과 수도권의 분양가가 최근 급등하고 시장 분위기가 반전되자 주요 분양 단지의 입주권 몸값이 치솟고 있다. 한때 미분양을 걱정하던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에선 ‘국민평형’(전용 84㎡) 기준 분양가 대비 6억원이 오른 입주권 거래가 체결되기도 했다. 불과 몇달 전까지만 해도 서울 주요 지역에서조차 ‘마이너스피’ 매물이 쏟아지며 분양가 대비 수억원 낮은 입주권도 외면 받았는데 분위기가 돌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 84㎡ 입주권은 지난달 24일 19억510만원에 팔렸다. 올림픽파크포레온의 해당 면적 가격이 19억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전용 84㎡ 일반 분양가가 약 13억원이었는데, 약 6억원이나 프리미엄이 붙었다.

이는 송파구 주요 대단지의 전용 84㎡ 실거래 가격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달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84㎡ 실거래가는 16억~20억3000만원, 신천동 ‘파크리오’는 18억6000만~22억원이었다.

앞서 선순위 청약 마감에 실패했던 올림픽파크포레온은 무순위 청약에 잔여 물량 899가구가 완판된 데 이어, 이제 입주권에 수억원의 웃돈이 붙어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에만 총 21건의 입주권이 팔렸다. 저조한 특별공급 청약 성적에 ‘서울 불패’가 옛말이 됐다는 평가까지 나왔지만 결국 청약 당첨자들은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볼 수 있게 된 셈이다.

둔촌주공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른바 ‘링세권’(서울시가 추진 중인 대관람차 ‘서울링’ 입지와 가까운 지역)이 기대되는 아파트도 전용 84㎡ 기준 입주권에 4억원 이상 프리미엄이 붙었다. 지난달 24일 서울 은평구 수색동 ‘DMC SK뷰아이파크포레’ 전용 84㎡ 입주권은 신고가인 11억원에 팔렸다. 전용 84㎡ 일반 분양가는 6억원 후반대였다. 이 아파트는 지난달 총 10건의 입주권이 거래됐다.

최근 무순위 청약에 무려 93만명이 몰린 동작구 흑석동 ‘흑석리버파크자이’의 전용 59㎡ 입주권은 지난달 최고가인 13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면적 아파트는 올해 초 11억원에 팔린 바 있다. 흑석리버파크자이 전용 59㎡의 해당 타입 일반 분양가는 6억4650만~6억8410만원으로, 최고가는 프리미엄이 7억원 이상 붙은 셈이다.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전용 84㎡ 입주권은 지난 4월 25억원에 팔렸는데, 지난달에는 4억원 가까이 오른 28억9198만원에 거래됐다.

이런 분위기는 분양권 전매제한 규제 완화와 더불어 수도권 분양가의 가파른 상승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6월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92만7500원으로 4개월째 상승했다.

실제 자재값·인건비가 오르면서 공사비가 크게 뛰고, 고금리에 금융비용까지 치솟자 비강남에서도 전용면적 3.3㎡(평)당 분양가 4000만원을 웃도는 단지가 등장하고 있다.

이달 공급되는 광진구 자양동 ‘구의역 롯데캐슬이스트폴’은 전용면적 3.3㎡(평)당 평균 분양가가 4000만원선으로 책정됐다. 전용 84㎡ 기준으로 12억6000만원~14억9000만원이다. 비강남권도 4000만원을 뛰어넘은 단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도 3.3㎡당 분양가 3000만원 시대가 열린 상황이다. 지난 21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광명센트럴아이파크는 전용 39~113㎡를 평당 3700만원의 분양가로 공급한다. 앞서 지난 4월 분양해 완판된 광명자이더샵포레나 분양가가 3.3㎡당 평균 2700만원이었는데 3개월 만에 1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분양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아파트 가격 ‘바닥론’에도 힘이 실리면서 ‘지금 집값이 가장 싸다’는 인식이 퍼지자, 웃돈을 얹어서라도 물건을 잡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고은결·박자연 기자

k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