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티켓 값 비싸게 받더니” 국민 영화관 CGV 충격 사태…넷플릭스발 폐업 위기

[헤럴드경제= 박영훈기자] “영화관 한번 가면 3만원, 그 돈이면 넷플릭스 마음껏 본다”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는 CJ CGV가 문을 닫을 위기에 몰렸다. 이에 1조원 규모의 대규모 자본 확충에 나선다. 시장은 충격에 빠졌다.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는 반응이다.

2020년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CJ CGV는 현재에도 침체의 늪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주 수입원인 관객들이 영화관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관 대신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보편화된 데다 영화 티켓 값이 너무 비싸진 게 주 요인으로 꼽힌다.

계속되는 적자로 대규모 자금 확충 없이는 문을 닫아야 할 상황에 몰렸다.

실제 CJ CGV는 3년 넘게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0년 3887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고, 지난해에도 768억원, 올 1분기에도 141억원 적자를 냈다. 희망퇴직, 무급 휴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몸집을 줄었지만, 적자행진는 멈추지 않고 있다. 주가도 최근 1년간 반토막이 났다.

CJ CGV 영화관 [사진, 연합]

CJ CGV가 위기에 몰린 것은 결국 영화 관람객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KOBIS)에 따르면 올해 1~5월 영화관 관객 수는 총 1163만1935명으로 2019년 같은 기간(4693만3590명)의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코로나 이후에도 관람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영화관을 가는 대신 넷플릭스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넷플릭스 콘텐츠에 비해 요즘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영화들의 경쟁력도 높지 않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영화제작 인력이 요즘 사람들이 많이 보는 OTT용 영상 제작에 참여 하면서 OTT 콘텐츠의 경쟁력은 강화되고 있지만, 영화관 개봉 영화들의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범죄도시3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흥행에 실패하고 있다.

코로나 이전 8000원에서 1만원 수준이던 티켓 가격도 1만 5000원까지 올랐다. 영화관 한번 가면 영화표 및 간식 비용을 합쳐 1인당 평균 3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이럴바에는 집에서 넷플릭스를 마음껏 보는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문을 닫을 위기에 몰리자 CJ CGV는 유상증자 등을 통해 1조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신사업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용산 CJ CGV [사진, CJ CGV]

하지만 시장에선 예상치 못한 큰 규모에 더 충격에 빠졌다. 21일 코스피 시장에서 CJ CGV는 전 거래일 대비 3060원(21.10%) 내린 1만1440원에 거래를 마쳤다. 가뿐히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것은 물론, 주가가 2008년 수준으로 회귀했다.

1조원 자금 확보에 성공한다고 해도 CJ CGV의 미래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정도로 심각했냐”며 충격적인 자금난에 시장에선 더 충격을 받았다.

반면 국내 OTT 앱 설치자 수는 3000만명을 넘어섰다. 영화관을 대신할 주요 미디어로 부상한 셈이다. 시장 조사업체에 따르면 넷플릭스·티빙·쿠팡플레이 등 주요 OTT 앱 설치자 수가 3008만명(4월 기준)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2979만명) 대비 약 7.5% 늘어난 수치다.

넷플릭스가 1156만명(63.6%)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관람객들이 갈수록 줄고 있는 영화관과는 달리 넷플릭스 이용자는 매년 수백만명씩 늘어나고 있다.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