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한국이 반도체 협력 동의”…일방 발표, 속내는?
통상장관 회담 후 ‘반도체 협력’ 일방 발표
원자재・부품 공급망 강조한 한국과 대조적
미국 압박에 조급함 드러내…방향성 주목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라인.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미국의 대중 반도체 압박에 중국이 마이크론 제재로 맞대응하는 가운데 중국이 한국에 반도체 협력 의사를 피력했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APEC 무역장관 회의에서 만나 양국의 반도체 협력을 강조한 보도문을 발표했다.

상무부는 반도체 분야를 특정해 “(중국과 한국) 양측은 반도체 산업망과 공급망 영역에서 대화와 협력을 강화하는 데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의 입장은 조금 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안 본부장은 중국 측에 교역 원활화와 핵심 원자재·부품 수급 안정화를 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 강화를 부각한 것과 달리, 한국은 이차전지 소재 등 대중 의존도가 높은 광물, 원자재, 부품을 포함한 공급망 협력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한국이 공급망을 중심으로 한 협력을 언급한 상황에서 중국이 반도체를 지목해 ‘양국이 동의했다’는 식으로 일방적으로 보도문을 냈다는 분석도 나온다.

외교 행사 후 각국이 내는 보도자료는 긴밀한 조율로 문구가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점을 미뤄볼 때 중국이 사전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도체 협력을 강조한 것은 한국과 협력 유지가 절실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런 이유로는 미국의 대중 압박이 꼽힌다. 미국은 첨단 반도체 산업 공급망에서 중국을 떼어놓는 ‘탈동조화(디커플링)’ 전략으로 중국을 옥죄고 있다. 반도체 장비·소재 공급망에 일본과 네덜란드를 동참시키려는 행보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이 보안 문제를 이유로 메모리 반도체 업체인 미국 마이크론사의 제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제재를 받으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의 메모리 업체에 기댈 수밖에 없는 배경도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미국은 한국 메모리 업체들이 마이크론의 공백을 채우지 않아야 한다고 경고한 상황이다. 미 하원의 마이크 갤러거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은 23일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직접 경험한 동맹국인 한국이 (마이크론의) 빈자리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조급한 쪽은 중국이다.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반도체 강국인 한국의 협력을 끌어내지 못한다면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중국은 한국과 함께 양자 무역 및 투자 협력을 심화하는 것을 비롯해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을 수호하고, 양자 및 지역에서의 협력과 다자 차원의 경제·무역 협력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전 한국에 불만을 표출했던 중국이 장관급 회담에서 협력 의지를 밝힌 만큼, 정부의 향후 방향성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경고 메시지를 던진 미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