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 “한국도 안전지대 아니다”…금감원, 국내 부동산 공모펀드 들여다본다
서울 아파트단지.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유혜림·권제인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상업용 부동산 리스크에 대한 경계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증권사·자산운용사 등 국내 금융투자기관들의 해외 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를 대상으로도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그동안 금융감독원은 미국 대형 오피스빌딩들이 대출금 상환에 실패했다는 소식에 해외 상업용 부동산펀드를 중심으로 사태파악에 나선 상태였는데 이제는 국내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판단하에 긴급 조사에 나선 것이다.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 자산운용국은 지난 12일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와 금융투자협회를 대상으로 ‘공모 부동산펀드’에 대한 실무간담회를 개최, 현황 및 실태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금감원은 현장에선 자산운용업계에 ‘관리 강화’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자산가치 하락에 대출금리 상승으로 차입비용까지 늘어나면서 원본 손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 공모펀드 (만기 등) 운용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했다”며 “현황은 지금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지만 개인투자자들이 많다 보니 그 부분(투자자 보호)에 대해서 신경을 써 달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각 운용사에 매월 업무보고서를 제출받는 것을 물론 자료를 수시로 요청해 국내외 부동산펀드의 손실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 부동산 공모펀드의 투심도 얼어붙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 설정액(11일 기준)은 전년 대비 36% 감소한 5565억원을 기록했다. 펀드 수는 총 14건으로 ▷50억원 미만 3건 ▷100억~500억원 6건 ▷500억~1000억원 4건 ▷1000억~5000억원 1건으로 구성됐다. 수년간 저금리 기조 덕에 설정액은 1조2000억원대(2020년 5월)까지 치솟았지만 급격한 금리 인상과 상업용 부동산 침체가 맞물리면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forest@heraldcorp.com
ey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