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점포 줄여도 수도권은 예외…전국구 노리는 지방은행 [서정은 기자의 나·알·아]
지역 영업 한계
수도권에 점포 늘려
중소기업 대출 의무비율도 완화
영업확대 속도 붙는다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지방은행들이 지역 기반을 벗고 전국구 은행으로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디지털 영업 확대로 물리적인 한계 극복이 수월해진 것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지역에 의존한 영업만으로는 성장에 한계를 느낀 탓이다. 오는 7월 1일부터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원화대출 의무비율도 줄어든 만큼 지방은행들의 탈지방화, 영업기반 확대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은행은 올 하반기에 수도권 지역 공략을 위해 영업센터를 신설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대형센터를 만들어 서울, 경기 지역 등을 아우르겠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말 기준 경남은행의 수도권 지역 점포수는 총 8개로 전체의 5%다. 1년 사이 점포는 6개가 줄었지만 수도권 지역에는 오히려 확장 기조로 방향을 틀었다.

수도권 진출을 노리는 곳은 비단 경남은행 뿐만이 아니다. 대구은행은 올해 초 기업특화 영업조직인 ‘금융센터’를 신설하고 경기 성남시에 ‘성남금융센터’를 개점했다. 대구은행은 성남금융센터를 통해 우량자산 중심의 기업 고객을 유치하고 수도권 지역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대구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서울 및 경인지역에 8개 점포를 운영해왔다. 경남은행과 마찬가지로 1년사이 점포는 154개에서 143개로 줄었지만, 수도권 지역에서는 올 들어 점포를 늘리며 공격태세를 갖추는 분위기다.

대구은행의 경우 전체 원화여신금액 중에서 수도권 원화여신의 금액과 비중은 매년 늘고 있다. 2018년 2조1018억원에 그쳤던 수도권 원화여신은 2022년 3분기 들어 7조9851억원까지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원화여신 규모가 35조원에서 50조원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3분의 1 가량이 수도권 몫인 셈이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전체 원화여신 중 수도권 비중이 4년간 5.9%에서 15.8%까지 늘어났다”며 “연초에 성남금융센터를 만든 만큼 올해는 영업 중인 점포를 위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고객기반을 확보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은행, 대구은행처럼 점포 확장을 추진하기보다 우선 수도권 지역에 버티기 모드에 들어간 곳도 있다. 전북은행, 광주은행은 현재 각각 11곳 ,15곳의 점포를 운영 중이다. 두 회사 관계자들은 “이미 점포가 있을 곳에 있는 만큼 수도권 지역에 현실적으로 더 늘리긴 어렵다”면서도 “일단 자리잡은 곳에서 영업을 잘 해가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지방은행들이 수도권 지역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지역 영업기반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내총생산(GRDP)을 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GRDP는 2010년 49.4%에서 2020년 52.5%로 상승했다. 금융·보험업 부문 GRDP 점유율은 67.7%에 이르는 등 수도권 집중도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데다 영업을 확대해야하는 지방은행으로서는 레드오션인 수도권 지역이 그나마 탈출구인 셈이다. 최근 지방은행들의 발목을 잡던 대출 규제가 완화되는 것도 긍정적인 요소다. 한국은행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원화대출 의무비율을 50%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현재는 시중은행 45%, 지방은행 60%를 적용받았었다. 당시만해도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들의 은행 이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같은 규정을 뒀으나, 최근에는 해당 규제가 지방은행의 역차별 요인으로 꼽히면서 상황이 달라진 터였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점포를 계속 줄이는 가운데에서도 지방은행들을 보면 오히려 수도권에 점포를 열고 있다”며 “지역 기반만으로는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수도권에서 그만큼 영업이 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