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비트코인은 잘나가는데…국내 거래소는 해킹·상장피·상폐이슈 ‘시끌시끌’
[로이터]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올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시장은 순항중이지만, 국내 중대형 거래소들은 저마다의 이슈로 시끌시끌하다. 해킹사고부터 상장피(Fee)와 실소유주 구속에 따른 관련주 상폐이슈까지, 자칫 국내 거래소에 대한 신뢰를 저해해 대형 거래소로 독점이 과열되거나 해외 거래소로 발길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200억원대 가상자산 해킹사고를 겪은 지닥은 이용자의 자산에 대한 전액 충당과 보전을 약속하며 이달말까지 시간이 소요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닥은 닥사(DAXA) 소속 거래소와 달리 원화마켓이 아닌 코인마켓 거래소이면서도, 방문자 트래픽 수에서는 고팍스를 제치며 사실상 ‘6대 거래소’로 꼽혀 투자자들의 충격이 컸다.

특히 사고가 발생한 지 34시간이 지나서야 해킹 사실을 공지하면서 ‘늑장 공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탈취된 자산의 수거 현황이나 자산 충당 방법 등 사고 수습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도 밝히지 않았다.

지난 2019년 해킹 피해를 입은 업비트는 5시간만에 이석우 두나무 대표 이름으로 해킹 사실을 공지하면서 탈취된 이더리움이 전송된 지갑 주소도 투명하게 공개해 내부자 소행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같은해 해킹을 겪은 빗썸은 15시간만에 내부자 소행의 횡령 사고임을 밝히며 이용자 자산 전량을 콜드월렛(인터넷과 차단된 가상자산 지갑)으로 보호 조치했다고 안내해 현재 지닥의 대처와 대비된다.

국내 3위 거래소인 코인원은 강남 살인사건과 연루된 퓨리에버를 단독상장해 홍역을 치루고 있다. 최근 코인원은 과거 근무했던 임직원 2명이 거래소 상장을 대가로 수십억대 금품을 수수한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된 사건이 발생한 데 대해 공식입장을 밝혔다.

코인원은 해당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가상자산 29개 등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으며, 기준미달 사례가 밝혀질 경우 빠른 시일 내 내부 규제에 따른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외부 전문위원을 포함한 준법감시위원회를 운영하며 이메일로 운영하는 ‘거래 지원 비리 신고채널’을 홈페이지에 확대 신설하고, 유효한 신고에는 포상금을 지급키로 했다. 개발 중인 불공정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달 오픈할 계획이다.

빗썸은 관련 주식들이 줄줄이 상장폐지 위기에 처했다. 빗썸의 최대주주 비덴트와 비덴트의 최대주주사인 인바이오젠, 인바이오젠과 빗썸 관련 지분을 보유한 버킷스튜디오는 모두 한국거래소에서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빗썸의 실소유주로 알려진 강종현 씨가 자금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된 영향이다. 비덴트는 빗썸의 지분 10.22%와 빗썸 지주사 빗썸홀딩스의 지분 34.22%를 보유한 사실상 빗썸의 최대주주다. 소액주주가 8만명에 달해, 상장 폐지될 경우 투자자 피해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빗썸홀딩스 대표인 이 모씨는 가상자산 상장을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투자 대체재’로 주목받은 비트코인이 3만달러를 넘나드는 등 가상자산 시장의 활성화와 달리 국내업계에서 유감스런 사고들이 잇따라 발생하는 것은 투자자 신뢰저하를 초래, 이들의 업비트 자금쏠림 현상이 심화되거나 해외거래소로 발길을 돌리는 양상을 키울 수 있다.

특히 작년 가상자산 시장 불황으로 적자를 면치 못했던 중소형 거래소가, 올해 모처럼 상승하고 있는 가상자산을 통해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잡음 없는 운영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 빗썸코리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0~75% 하락했으며, 코인원과 코빗·고팍스는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코인원이 210억원, 코빗이 358억원, 고팍스가 765억원에 달한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