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제주 4·3 찾은 역대 대통령은? 盧·文 ‘유이’ [용산실록]
尹, 작년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제주 방문
‘보수 대통령’ 4·3 추념식 방문, 올해는 무산
盧, 현직 대통령 최초 참석·文은 세 차례 찾아
MB·朴 시절 현직 대통령 참석은 이뤄지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4월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4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추념식에 참석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지 않으면서, 그간 추념식에 참석했던 역대 대통령들이 주목된다. 윤 대통령의 올해 추념식 불참으로, ‘보수정당 대통령’의 4·3 희생자 추념식 첫 참석은 다음으로 미뤄지게 됐다.

3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4·3 희생자 추념식’을 찾은 역대 대통령 중 현직 신분으로 참석한 대통령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뿐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제주를 찾았다. 윤 대통령의 임기 시작 후 처음으로 열린 올해 제75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엔 윤 대통령 대신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윤 대통령의 불참을 두고 정치권에선 공방이 이어졌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갔던 거고, 오늘 총리가 참석하시는 것도 대통령의 추모사를 대신 읽는 것”이라며 “(한 총리가)정부 입장을 대신 얘기하시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전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의 불참에 대해 “올해는 총리가 가시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작년에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을 했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지가 적절한지에 대해선 늘 행사를 기획하면서 고민이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사건 발생 55년 만인 지난 2003년 제주를 찾아 국가원수로서 첫 사과를 했다. 노 전 대통령은 이후 2006년 58주기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참석했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무력 충돌과 진압의 과정에서 국가권력이 불법하게 행사되었던 잘못에 대해 제주도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며 “앞으로도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4·3사건을 제대로 알리고, 무고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은 그러면서 “자랑스러운 역사든 부끄러운 역사든, 역사는 있는 그대로 밝히고 정리해야 한다”며 “특히 국가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잘못은 반드시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7년 10월 11일 노 대통령이 주요 정당대표들에게 2007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문재인 비서실장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노무현재단 홈페이지]

노 전 대통령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 임기 당시엔 현직 대통령의 제주 4·3 추념식 방문은 없었다. 다만, 2014년 박근혜 정부는 제주4·3사건 희생자 위령과 유족 위로, 국민 대통합 등을 위해 4월 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문 전 대통령의 경우, 2018년 제70주년 추념식을 시작으로 2020~2021년 제72주년, 제73주년 추념식에 참석하며 현직 대통령으로서 세 차례 4·3 희생자 추념식을 찾았다.

문 전 대통령은 제70주년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통해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며 “더 이상 4.3의 진상규명과 명예 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그러면서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리고, 또한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4월 대통령으로서 공식 임기를 시작하기 전, 당선인 신분으로 추념식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를 통해 “4·3의 아픔을 치유하고 상흔을 돌보는 것은 4·3을 기억하는 바로 우리의 책임이며, 화해와 상생, 그리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대한민국의 몫”이라며 “4·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온전한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생존 희생자들의 아픔과 힘든 시간을 이겨내 온 유가족들의 삶과 아픔도 국가가 책임 있게 어루만질 것”이라고 말했다.

po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