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의 ‘중국 때리기’ 대응 해법은…“한일, ‘광물·탄소포집·수소’ 뭉쳐야”
전경련 ‘한·일 협력방안’ 보고서
지난 16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 [연합]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미국의 독자적 중국 제재와 자국 중심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이 공급망, 탄소 저감기술, 수소경제 분야에서 협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의뢰한 ‘최근 글로벌 이슈 대응을 위한 한·일 협력방안’ 보고서를 통해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참여국들의 공급망 분야 협상 목표가 ▷아세안 7개국(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브루나이)과 인도를 중국 대항기지로 활용 ▷한국과 일본의 대미 투자 확대로 초점이 모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디커플링(decoupling, 탈동조화) 차원에서 IPEF라는 동맹국 간 다자간 협력틀을 활용해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분리하려는 시도가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일 양국이 미국의 탈중국화 요구에 공동 대응하고, IPEF 협상 결과와 별도로 협의 가능한 공급망 협력의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핵심광물 공급망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 ▷ 수소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을 꼽았다.

보고서는 양국이 모두 자원 빈국이기 때문에 중요광물이나 중요물자 원재료의 해외 공동개발·조달에 협력할 소지가 충분하다고 봤다. 한국 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10대 전략광물은 지난해 말 일본이 제시한 중요광물과 정확히 일치한다. 2000년대 초반 한국과 일본기업은 해외 광물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한 경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아르헨티나, 칠레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돼 있는 중남미 국가들이 협력체를 꾸려 자원 무기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양국이 공동으로 대응한다면 이들에 대한 협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최근 개선된 한일관계를 활용해 한국이 ‘아시아 CCUS 네트워크’와 같은 다자간 기술협력 플랫폼에 적극 참여하고, 공동사업을 추진해 탄소중립과 같은 국제적 아젠다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CCUS 기술은 여러 탄소저감 기술 중 한국이 주요국에 비해 가장 뒤처지는 분야 중 하나다. 한국은 CCUS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1030만 톤, 2050년까지 최대 연간 8520만 톤을 처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시아 CCUS 네트워크’는 CCUS 분야에서 기술 주도권을 가진 일본이 지난 2021년 설립한 플랫폼이다. 일본은 탄소중립 목표달성의 일환으로 CCUS 기술을 통해 2050년부터 연간 약 1억2000만 톤에서 2억4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천해나갈 국제협력의 전략으로 ‘아시아 CCUS 네트워크’를 통해 CCUS 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식공유 및 사업환경 정비에 나서고 있다.

보고서는 수소 분야에서도 한일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국은 수소전기차 등 최종 활용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생산 및 운송, 기타 인프라 분야에서는 주요국 대비 열위에 있다. 한일 양국은 모두 향후 탈탄소화를 위해 필요한 수소의 양이 많지만, 자국 내 생산 여건이 좋지 않아 막대한 양의 수소를 해외에서 도입할 계획이다. 김규판 선임연구위원은 양국간 협력을 통한 제3국 진출을 적극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6월 GS에너지와 미쓰이물산의 UAE 블루암모니아 생산 공동프로젝트 사례처럼, 이미 한일 기업 간에는 해외 수소도입 협력의 물꼬가 트인 상황이다. 보고서는 그간 끊겼던 한일 간 정부협력창구를 조속히 복원해 추가 프로젝트 발굴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배터리, 전기차의 핵심 재료인 리튬, 니켈 등 광물 확보와 CCUS기술 및 수소기술 개발은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 먹거리, 탄소중립 실현에 모두 필수적인 과제”라며 “양국 기업이 경쟁하지 않고 제3국에 공동진출하는 윈윈(win-win) 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급망과 탄소중립 협력을 위해 한일 공동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