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의회,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촉구
장성숙 의원이 대표 발의 결의안, 28일 시의회 본회의 통과
인천광역시의회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광역시의회가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설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장성숙(민·비례대표)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설립 촉구 결의안’이 28일 열린 ‘제285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시의회는 결의안을 통해 정부가 인천 의료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인천대에 공공의대를 설치하고 우수한 의료 인력을 양성해 공공의료 시스템 확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인천대에 공공의대를 설치해 국민의 보건 안전을 지키는 핵심기관으로 양성할 것을 제안했다.

시의회는 또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도 인천의 부족한 의료 인프라를 개선하고 재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장학금 지원을 위한 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이밖에 인천의료원을 의대 교육·실습 기관으로 지정해 졸업생들이 면허 취득 후 10년 간 인천 공공보건의료기관 등에서 종사해 인천의 공공 의료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현재 인천은 공항과 항만이 위치한 대한민국의 관문이자, 세계와 수도권을 잇는 교통의 요지로 각종 감염병 노출 가능성이 커 초기 대응력이 매우 중요한 도시이다.

하지만, 인천 인구 1000명당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는 2.5명, 의료기관 병상 수는 11.9개 등으로 전국 7개 특·광역시 중 6위에 불과하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인천은 인구 10만 명당 치료 가능 사망자 수가 48.58명에 달해 전국 17개 시·도 중 두번째로 많아 ‘최악의 의료취약지’ 꼽히기도 했다.

장성숙 의원은 “인천에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의료 확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지역의 척박한 의료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인천대의 공공의대 설립을 적극 추진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 인천대학교 공공의대는 감염병 예방 및 치료, 백신 연구개발, 응급·중증 외상 등 생명과 직결되는 공공의료 인력양성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다.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에 따르면 인천대 공공의대는 국비로 교육을 받을 수 있어 가정형편이 어려워도 의대에 진학할 수 있고 졸업후 10년간 지역 또는 공공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 인천대는 시민 토론회, 캠페인 등을 통해 공공의대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알려왔고 14만5000여 명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공공의료 강화와 인천대 공공의대설립 범시민협의회’를 결성해 5월 출범식을 준비하고 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