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웰니스, 뛰는 이들<26>] 김헌영 강원대 총장이 말하는 ‘지방대학 생존 해법’은?
“지방대가 지역격차 해소·지방 붕괴 막는 역할 맡아야”
지자체와 지학(地-學)협력 체계 마련해야 의미있어
기업과의 협력은 필수…학과 융합·특성화 바탕돼야
지방대가 주도하는 히든챔피언 육성, 그게 지역웰니스
연임 8년 간 대학 변화와 혁신 이끌며 명예 회복 앞장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최근의 지방인구 위기론 및 지방대 위기론과 관련해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학령인구가 줄어든다고, 대학 숫자를 무조건 줄이는 방식보다는 각 지역에 있는 대학들이 저마다 가진 강점을 활용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전문] 웰니스(Wellness)는 웰빙(well-being)·행복(happiness)·건강(fitness)의 합성어다. 2000년대 이후 등장한 개념으로 신체·정신·사회적 건강이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인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최근 들어 국민 개인의 입장에서는 생애주기별 다양한 지원정책과 함께 신체·정신건강 증진에 관심이 높은 편이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 시대,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위기를 극복하고 시민들이 보다 일상의 행복을 더 누리는 것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 분위기다. 헤럴드경제는 이같은 맥락에서 국민들에게 힐링을 선사할 수 있는 다양한 웰니스 콘텐츠를 발굴해 소개한다. 본지는 지난 24회에 걸쳐 ‘웰니스 행정’의 프런티어를 인터뷰한 바 있다. 이번에도 포용과 복지를 추구하고 K웰니스 행정을 실행하는 기관을 만나 ‘건강한 국민, 행복한 국가’를 만들기 위한 노력과 그 배경 철학을 들어봤다.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정리)·글=김민영 웰니스 차장] 지방소멸 가속화는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방대학은 저출산 현상과 인구감소에 더해 청년인구의 유출과 수도권 집중화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역으로 지방소멸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대학과 지역만이 아닌 국가 전체의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방소멸을 해결하기 위한 양대 축은 일자리와 교육으로 꼽힌다. 대학은 단순히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하는 기관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의 붕괴를 막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전국에 일반대와 전문대를 합쳐 380개에 이르는 대학이 있는데, 전체의 약 70%가 지방대학이다. 이들이 사라지면 지역 경제와 사회 전반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게 자명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김헌영 강원대학교 총장은 최근 본지와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곳곳에 많은 대학이 존재한다는 것은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교육·연구 인프라가 이미 마련돼 있다는 의미다”면서 “학령인구가 줄어든다고, 대학 숫자를 무조건 줄이는 방식보다는 각 지역에 있는 대학들이 저마다 가진 강점을 활용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방소멸의 최전선에서 현장을 지휘하고 있는 김 총장으로부터 현안과 해법을 들어봤다.

-지방소멸과 관련해 지방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인데.

▶“무엇보다 지자체와 대학이 수평적인 관계에서 정책을 수립, 운영할 수 있는 ‘지학(地-學)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산업을 육성하거나, 정책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대학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민사회, 전문가, 기업들이 수평 참여하는 협력 플랫폼을 가동해야 한다. 지역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자율적인 혁신과제를 발굴, 추진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지원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취업과 창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 국·공립대와 사립대,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교육대학 등 대학마다 다른 설립 취지에 맞춰 다양성과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고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강원대 캠퍼스.

-지방대학의 생존은 기업과 협업이 필수라고 강조했는데.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에 불과하다. 챗GPT를 비롯한 인공지능(AI) 기술혁명,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 확산 등 대학을 둘러싼 사회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대학도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이다. 학과와 전공 간 장벽을 허물어 융합과 특성화를 바탕으로,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학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대학이 연구 역량을 갖추면 기업에 도움을 주고,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력이 그 기업에 취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에 정주하는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것이다.”

-구체적인 사례를 든다면.

▶“세계적인 도시에는 세계적인 대학이 있다. 대학의 역량과 인재를 바탕으로, 지역기업을 ‘히든 챔피언(강소기업)’으로 육성한다면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국가 균형발전,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결책이 된다. 세계 ‘히든 챔피언’의 절반을 차지하는 독일의 경우 대학과 연구기관이 지역의 중소기업과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지역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스웨덴 말뫼대학과 외레순 클러스터, 독일 드레스덴 사례에서 보듯이 대학과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전문가, 시민사회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6년 총장 취임 후 상당한 변화와 혁신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어려운 시기에 총장에 취임해 어느새 8년째를 맞이했다. 2017년 개교 70주년을 전환점으로 삼아 구성원 모두가 뼈를 깎는 심정으로 과감한 혁신에 나섰고, 2018년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면서 명예와 위상을 회복했다. 지난해 개교 75주년을 맞이해 상징 조형물인 ‘하모니타워’를 건립하고, KNU 미래도서관, 평생교육원을 개관하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2년 연속 거점 국립대 1위를 차지했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RIS) 사업을 비롯해 강원도 최초의 ‘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 기술핵심기관’과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8년 연속 최우수대학’에 선정됐다. 지난해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 세계 100위권, 국내 대학 6위에 올랐다.”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대입정책자문회 의장을 맡고 있는데 어떤 일을 하는 것인가.

▶“대입정책자문회의는 지난해 8월 발족했다.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을 논의하기 위한 교육부 자문기구로 고교 현장, 대학 입학 관계자, 학계, 언론,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1명이 참여하고 있다.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은 4년 예고제에 맞춰 내년 2월까지 확정될 계획이다. 이제 학령인구 감소 영향으로 ‘학생들이 들어가고 싶어 하는 대학’과 ‘학생들을 모셔가야 하는 대학’으로 나뉘게 될 것이다. 앞으로 10년이 대학 혁신의 골든타임이다. 다만 ‘본고사 폐지’ 식의 급격한 변화는 어렵고, 현재 입시 제도는 유지하되 비율을 조정하거나 대학에 자율권을 주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028학년도 대입은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의 첫 세대인 2009년생 학생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시기이다. 고교학점제를 비롯한 교육의 변화를 어떻게 대입제도에 반영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이다.”

-‘1도(道) 1국립대’ 추진을 제안했는데.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대학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규모의 경제’ 실현과 대학의 ‘지역밀착형 특성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략이라고 본다. 교육부의 ‘글로컬 대학 사업’은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특화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적 지역대학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2023년 10개 내외 시범운영 대학을 선정하고 대학당 5년간 총 1000억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강원대와 강릉원주대는 이미 2017년에 전국 국립대 최초로 ‘연합대학 체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공유 기반 11자형 교양교육벨트’를 구축하였으며, 2021년 2월 ‘강원도 1도 1국립대학 캠퍼스별 특성화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도 1국립대’는 수도권이나 타 지역 대학과 경쟁해서 이기자는 것이 아니다. 강원대가 모든 분야에서 최고가 될 수는 없지만 최고로 인정받는 분야를 찾아 집중 육성하고, 차별화된 브랜드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minkim81@heraldcorp.com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