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 바다 지킬 ‘역사적 합의’”…UN, 국제해양조약 협상 최종타결

UN 로고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유엔(UN, 국제연합)은 15이 넘는 논의 끝에 세계 바다를 보호할 국제해양조약에 합의에 이르렀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4일(현지시간) 유엔 해양 및 해양법 대사 레나 리는 미국 뉴욕시 유엔 본부에서 국제해양조약 협상이 최종 타결됐음을 발표했다.

국제해양조약에 따라 2030년까지 공해(公海)를 포함한 세계 바다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된다. 공해는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부터 대양으로 뻗은 해역을 의미한다. 통상 각국 해안에서 200해리(약 370㎞) 밖에 있는 공해에는 국가 관할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바다에서는 어획량, 항로, 심해 광물 채굴 등 인간 활동이 제한받는다.

조약의 공식 문구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전세계 해양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할 역사적인 합의라는 분석이 나온다.

바다와 거북이 [게티이미지뱅크]

공해는 지구 전체 바다의 64%를 차지하지만 이중 1.2%만이 기후 변화, 남획, 자원 난개발로부터 공식적 보호 대상이다.

이번 합의에 따라 고래와 거북 등 멸종위기 동물들도 서식지 보존으로 함께 보호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환경단체들은 환영의 메시지를 내고 있다. 그린피스 측은 “환경보존에 역사적인 날”이라며 “분열된 세계에서 자연과 인간을 보호하는 게 지정학을 압도할 수 있다는 신호”라고 평했다.

공해는 지구상에서 가장 넓은 천연 탄소흡수원으로서 기후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비영리단체인 퓨재단 측도 “획기적 성취”라며 “공해 보호가 기후변화의 충격에서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 보호 관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그동안 유엔은 바다 생태를 지키기 위해 공해 보호를 골자로 하는 조약 제정을 추진했으나 회원국 간 입장 차로 논의가 지연됐다. 해양자원에서 나오는 이익과도 긴밀하게 연결돼 있기에 부국과 빈국의 마찰이 계속됐다.

국제사회에서 이번 조약 제정에 대한 논의는 15년 이상 이어졌으며 공식 협상은 4년 만에 진행됐다. 최종 협상은 2주 동안 이어지다가 38시간에 달하는 마라톤 회의 끝에 타결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합의 이전 가장 최긘의 해양 보호 국제 협약은 1982년 체결된 유엔 해양법 협약이다. 그러나 이 협약은 광물 채굴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는 데다가 기후변화 영향도 반영하지 않아 현 시대에 적합하지는 않은 것으로 인식돼 왔다.

리 대사는 합의 내용이 크게 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재협상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유엔 회원국들은 합의된 조약을 공식 채택하기 위해 추후 다시 모여야 하며 조약의 실제 이행까지는 추가 절차가 필요하다. 캐런은 “조약 발효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이라며 “우선 각 회원국이 이 조약을 최종 비준해야 하고 그다음엔 과학 기술 위원회와 같은 제도적 기구가 여러 개 설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hop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