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신종마약 108억원 규모 적발…1년 전의 3배
양경숙 "클럽용 마약, 젊은 층에 파급력…단속 및 처벌 강화 필요"

부산지검 강력범죄수사부 마약범죄 특별수사팀이 1657억원 상당의 필로폰을 태국에서 수출입 화물 운반대(팔레트)에 숨겨 국내로 밀반입한 마약밀수 조직 일당 3명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향정)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고 지난달 21일 밝혔다. 사진은 검찰이 압수한 필로폰.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지난해 향정신성의약품 등 신종마약류의 적발 금액이 1년 전의 3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4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적발한 신종마약은 108억원 규모로 2021년(38억원)보다 187% 증가했다. 적발 중량은 267㎏으로 87% 늘었다.

신종마약은 필로폰을 제외한 향정신성의약품과 임시마약류를 일컫는 말로, MDMA(일명 엑스터시), 러쉬, 졸피뎀, 프로포폴 등이 해당한다.

지난해 필로폰·코카인 등을 포함한 전체 마약 적발 규모는 줄었으나 신종마약은 늘어났다.

지난해 전체 마약 적발금액은 600억원, 적발량은 624㎏으로 1년 전보다 각각 87%, 51%씩 감소했다.

종류별로 보면 신종마약 가운데 합성 대마가 91㎏(60억원) 적발돼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 적발 중량은 499%, 금액은 624% 급증했다.

MDMA는 25㎏(19억원), 케타민은 22㎏(17억원)으로 적발 중량이 각각 211%, 277%씩 늘었다.

이들 약물은 극미량의 복용으로 환각·도취감·기억상실 등의 효과가 있어 범죄 사용 우려가 크다는 게 양 의원의 지적이다. MDMA는 이른바 '클럽용 마약', 케타민은 성범죄용 등으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마약 적발 건수당 평균 중량은 MDMA가 2021년 103g에서 지난해 347g으로, 케타민이 174g에서 557g으로 각각 3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밀수 규모도 대형화되고 있다.

양 의원은 신종마약이 최근 이슈가 된 연예인들의 마약 적발 사건에서도 드러났다며 마약에 대한 젊은 층의 심리적 장벽이 약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2021년 전체 마약 사범 가운데 20∼30대 비중이 56.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양 의원은 "대마·필로폰 등의 마약 외에도 젊은 층에 파급력이 큰 클럽용 마약의 사용은 우리 사회에 더 큰 악영향"이라면서 "검찰·경찰·관세청 등 마약 단속 기관의 신종 마약에 대한 철저한 단속대책과 연예인·유명인에 대한 처벌 강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