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1.6% 전망…상반기 부진·하반기 개선"
설비투자·건설투자 감소
물가상승률 올해 3.5%·내년 2.6% 예상
취업자 수 13만명 증가 전망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경제전망 설명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이정익 물가동향팀장, 이홍직 경제분석부장, 이환석 부총재보, 김웅 조사국장, 최창호 거시전망부장. [사진=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6%, 내년 성장률을 2.4%로 전망했다. 지난해 11월보다 0.1%포인트씩 하향한 수준이다.

다만 상반기에는 성장이 더뎌지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올해 3.5%, 내년 2.6%로 지난 전망보다 낮춘 반면,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9%에서 3.0%로 올렸다.

한은은 23일 '경제전망'에서 "향후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 부진한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하반기 이후에는 중국 및 정보기술(IT) 경기 회복 등으로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망의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민간소비는 실질구매력 둔화, 원리금 상환 부담 증대 등으로 연간 2.3%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국외 소비는 펜트업 효과(수요 분출 효과)가 본격화되겠으나 국내 소비는 완만한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주택경기 부진 심화도 하방 리스크로 꼽혔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융 비용 증대 등의 영향으로 마이너스(-)3.1% 성장이 예상됐다.

건설투자는 주택 경기 둔화,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소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해 -0.7% 성장이 추정됐다.

상품수출은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당분간 둔화 흐름이 이어지다가 하반기 이후 중국·IT경기 회복에 힘입어 점차 개선되며 0.5% 성장할 전망이다.

취업자 수는 올해과 내년 각각 13만명, 15만명 증가를 예상했다.

지난해 리오프닝(경제 재개)에 따른 효과가 축소되고 경기 둔화의 영향이 나타나면서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해(5.1%)보다 상당폭 낮은 3.5%로 예상됐다.

이정익 한은 물가동향팀장은 "유가 전망을 84달러 정도로 지난 전망 대비 9달러 정도 낮췄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약 0.3%포인트 정도 낮춰잡는 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에너지 제외)은 3.0%로 지난 전망 수준(2.9%)을 상회할 것으로 관측했다.

그간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공공요금 등에 점차 반영되고 이차 파급 효과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와 내년 각각 260억달러, 480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각각 1% 중반, 2% 중반 수준으로 예상했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경제 불확실성의 스펙트럼이 커졌다"며 "지난해에는 미국 금리 인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 걱정됐는데 지금은 중국 경제 회복, 일본 통화정책 등 불확실성이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