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AIST, 저농도 폐수서 암모니아 생산 성공
강정구 교수팀, 고효율 촉매 개발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농업용 비료, 플라스틱, 폭발물, 의약품, 선박용 청정원료, 수소 운반체 등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인 암모니아를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카이스트(KAIST)는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전기를 이용해 저농도 질산염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고효율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 촉매는 구리 금속 폼(Cu foam)과 니켈-철 층상이중수산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돼 있다. 구리 폼은 질산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고, 니켈-철 층상이중수산화물은 화학이나 생체반응을 통해 반응 중 생성된 중간체 수소 라디칼을 생성해 구리 폼에 전달함으로써 질산염이 암모니아로 변환되도록 한다. 구리, 철, 니켈 모두 귀금속과 비교해 지구에 풍부하고 비교적 저렴하므로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원천기술이다.

이 기술은 질산염을 통해 직접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질산염 환원의 가장 큰 문제였던 저농도 질산염 수용액에서도 좋은 성능을 갖는다. 실제 하천이나 강물, 혹은 여러 질산염을 배출하는 저농도 폐수를 이용해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다는 특성을 가진다.

강정구 교수는 “친환경적인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질산염 환원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경우, 주로 메탄 리포밍을 통해 생산되는 값비싼 수소 기체를 이용하며 안전성 문제를 가진 하버-보쉬 공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강물, 하천, 공장 폐수에 포함돼있는 질산염을 농축시키는 과정 없이도 효율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어 질산염을 통한 암모니아 생산의 상용화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및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환경과학’ 1월 24일 온라인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