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차 석유파동 수준으로 오른 전기료…공공요금 ‘폭탄’, 서민층 부담 가중
통계청, 1월 소비자물가 동향 분석해보니
전기료, 1981년 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라
2차 석유파동 수준으로 오르는 공공요금
겨울 한파 속 난방비 대란은 이미 현실화
8년만에 오르는 교통요금…교통비 들썩
공공요금 인상으로 서민층 부담 가중 우려
정부가 '난방비 폭탄'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든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 올겨울 난방비를 지원하기로 한 1일 서울 중구의 한 가게에서 상인이 전기난로로 추위를 피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올해 상반기 공공요금 줄인상이 예고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미 전기료는 1981년 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공공요금 물가가 2차 석유파동 당시와 비견될 정도로 뛰고 있는 셈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는 새해 첫 달부터 201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1월 전기·가스·수도 물가 전년동월비는 28.3%를 나타냈다. 지난해 12월에도 전년동월비 23.2% 올랐는데, 상승 폭이 더 커졌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해 7월 0.49%포인트 기록한 이후 10월엔 0.77%포인트로 올라서더니 지난달엔 0.94%포인트를 기록, 1%포인트에 육박했다.

공공요금 물가는 전기료와 가스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올리고 있다. 1월엔 전기료 물가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전기료는 1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9.5% 상승했다. 지난달 상승 폭은 18.6%였다. 전기료 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4분기 내내 18.6%를 유지했는데, 새해 첫 달이 되자마자 3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뛰었다. 전기료 물가 상승 폭이 30%를 상회한 시기는 1981년 1월(36.6%)밖에 없다.

체감 물가 상승세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월엔 이미 전기료 물가 상승세가 5%에 달했다. 기저효과가 일부 있음에도 상승 폭을 키운 것이다.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새해에도 전기요금이 인상된 여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13.1원 인상하는 요금 조정안을 발표했다. 지난해를 통틀어 인상된 전기요금이 19.3원임을 고려하면 올해 1분기 인상 폭은 특히 가파르다.

도시가스는 4개월 연속 전년동월비 36.2%를 나타냈다. 지역난방비도 4개월 연속 34.0%를 기록했다.

공공요금 물가 상승세가 마치 2차 석유파동 시기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1월 전기료와 도시가스 상승률이 이 보다 거센 수준을 나타낸 시기는 1981년 밖에 없다. 1981년은 ‘2차 석유파동(1978~1980년)’이 직접 영향을 준 해다. 1981년 1월 도시가스 물가 전년동월비는 66.7%를 나타냈다.

게다가 국제유가 및 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아직 전기·가스 요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태여서 추가적인 인상 가능성이 많다. 한국전력과 가스공사 등 관련 공기업도 누적적자 및 부채 급증으로 관련 요금의 현실화를 주장하고 있다.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는 에너지 수입가격 상승 등 시장 상황에 맞지 않게 국내 전기료와 가스료 등을 올리지 않는 것은 포퓰리즘이라며 시장 상황에 맞게 관련 요금을 올릴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다. 아직 공공요금 ‘폭탄’이 모두 현실화한 것은 아닌 셈이다.

난방비는 한파까지 겹치면서 이미 폭등이 현실화 됐다. 한국부동산원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당 평균 난방비(지역난방·중앙난방 기준)는 2021년 12월 334원에서 지난해 12월 514원으로 53.9% 올랐다. 도시가스 요금과 열 요금은 최근 1년 동안 각각 38.4%, 37.8% 올랐으나 올 겨울 한파로 난방 수요가 늘면서 실질적 부담이 더 커졌다.

지금까진 비교적 잠잠했던 교통비 물가도 서민경제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전국 곳곳에서 교통요금이 들썩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택시요금을 인상한 데 이어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을 2015년 6월 이후 약 8년 만에 조정한다. 시기는 이르면 올해 4월이다. 인상 폭은 최대 400원으로 책정했다.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 기준 지하철 1250원, 시내버스 1200원이다. 400원을 올리면 인상률은 지하철과 시내버스가 각각 32.0%, 33.3%에 달한다. 서울시가 버스·지하철 요금을 올리면 다른 지자체들도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많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월 물가가 전월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데는 전기료가 상승한 영향이 컸다”며 “전기·수도·가스의 (전체 물가) 기여도가 전기료 상승의 영향으로 전달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