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코로나 이후 韓 장기 생산성 둔화…생산효율성 주요국보다 떨어져"
팬데믹 장기화·대외 불확실성 영향
기술 혁신·규제 개선 등 필요
[제공=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거시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우리나라의 장기 생산성이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효율성이 주요국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어 기술 혁신과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이 30일 발간한 'BOK이슈노트-코로나19 이후 생산성 변화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팬데믹 직후 빠르게 반등하다가 정체(Boom then bust)되는 전형적인 위기 시 경기변동적 패턴을 보였다.

생산성은 팬데믹 직후 일시적으로 반등했으나 이후 불안정한 대외 여건, 산업간 재배분효과 소멸, 불황의 청산효과 부재 등이 작용하면서 둔화해 장기 추세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대외여건의 불안정성이 맞물리면서 성장 회복이 지체됐다.

백신이 보급되고 방역정책이 완화됨에 따라 위기 직후 일시적 생산성 반등을 가져왔던 노동투입량 변화에 따른 산업간 재배분 효과가 2021년 이후에는 소멸됐다.

또 한계기업 비중이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생산성 격차 등 시장의 구조적 비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위기 기간 동안 악화되며 불황 시 비효율적 기업의 퇴출로 시장 효율성이 개선되는 청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팬데믹 충격은 디지털기술 활용도에 따라 서비스업 내 생산성 격차를 확대했는데, 디지털 집약 부문은 여타 서비스 부문에 비해 노동투입량의 회복 없이도 생산능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높은 노동생산성 증가세를 유지했다.

정선영 한은 조사국 거시재정팀 과장은 "구조조정 지연 및 상흔효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위기 이후 예상되는 중장기적 구조 변화는 생산 과정 전반의 효율성 변동 경로와 기술 혁신 경로를 통해 생산성 장기 추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중장기 생산성 경로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기술 혁신)로 인한 상승 효과가 코로나19 상흔효과(생산효율성 하락)에 따른 생산성 둔화를 상쇄할 수 있을지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한국의 생산효율성은 2019년 기준 미국 대비 59.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73.2%)이나 경제 규모가 유사한 국가들(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 3만~5만달러)의 평균치(70.8%)를 하회했다.

이에 정 과장은 "중장기 생산성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등 기술 혁신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노력과 함께 구조조정 및 규제 개선 등 경제 체질 개선을 통해 생산효율성을 강화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