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전, 2036년 최대 전력공급원 된다…23.4%→34.6%
산업부, 2022~2036년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現 최대 비중 차지 석탄발전 2기 중 1기 가량 폐지
신재생에너지, 6→30%로 넢여 2번째 전력공급원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원자력 발전이 2036년 우리나라 전체 발전량의 35%이상을 차지하면서 최대 전력공급원으로 올라선다. 발전비중이 9%대인 신재생에너지도 2036년까지 30%대로 늘린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제시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안보다 대폭 높아지지만,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크게 낮아진 수치다.

현재 최대 전력 공급원인 석탄발전은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 기조에 맞춰 2기 중 1기가량을 폐지하면서 지난해 34%대에서 2036년 14%대로 확 낮춘다. 저탄소전원 전용 전력거래시장 개설 등 전력시장도 다원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에는 2022년부터 2036년까지의 전력수급 전망, 전력수요 관리, 발전 및 송·변전 설비 계획 등을 담았다.

우선, 이전보다 전력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030년 전력 소비량은 572.8TWh(테라와트시)로 9차 전기본(542.3TWh), 10차 실무안(565.6TWh)보다 커졌다. 데이터센터 같은 새로운 전력 수요 등이 반영됐다. 최대전력 수요도 2030년엔 109.3GW, 2036년은 118GW로 예상됐다.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을 이전 계획과 비교했을 때 원전 비율 확대가 핵심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전원별 발전량 비중은 원전 29.8%, 석탄 32.4%, LNG 27.2%, 신재생에너지 9.2% 등이다.

확정된 안에 따르면 전원별 발전비중은 원전의 경우 2018년 23.4%에서 2036년 34.6%로 확대하고, 같은 기간 신재새생에너지도 6.2%에서 30.6%로 늘린다. 석탄은 단계적 폐지방침에 따라 41.9%에서 14.4%로 대폭 낮아진다.

액화천연가스(LNG)도 26.8%에서 9.3%로 대폭 감소한다. LNG발전은 상당부분 수소·암모니아 혼소형태로 활용될 전망이다. 2036년 수소·암모니아 발전비중은 7.1%로 계획됐다.

석탄발전 28기를 2036년까지 LNG 발전으로 전환한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보다 동해 1·2호기, 당진 5·6호기가 추가 반영됐다. 다만 추가적인 석탄발전 폐지는 전력수급 및 계통운영의 안정성, 전력공급의 비용효율성 등을 고려해 신중히 추진하기로 했다.

또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고 노후 석탄발전소의 좌초자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석탄발전 휴지보전 제도를 검토하기로 했다. 휴지보전제도는 석탄발전을 완전히 폐지하지 않고, 휴지 상태로 보존하다가 비상시 예비전력으로 활용하는 개념이다. 이 제도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야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휴지보전 석탄발전 신규허가, 연료조달, 정산금 등 정비해야할 내용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력시장에선 가격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는 가격 입찰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발전단가가 높은 발전소를 기준으로 전력 도매가가 결정되지만, 앞으로는 각 발전사가 전력 판매 시 경쟁 입찰을 하게 된다.

문제는 윤석열 정부가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전원별 발전량 비중은 문재인 정부 당시인 지난해 10월 나온 NDC상향안에서 원전 23.9%, 신재생 30.2%, 석탄 21.8%로 설정한 것과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여야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위원회와 같은당 산자위원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윤석열 정부가 시대착오적 에너지 정책을 철회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촉구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