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조2000억 이전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제자리 걸음’
이전 비용 마련·현 공장 부지 용도변경 등 난항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이전이 막대한 이전 비용 등을 이유로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다.

공장 부지 용도 변경을 놓고 광주시와 사측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해법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9일 광주시와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1월 광주 공장을 전남 함평 빛그린 산단으로 옮기기로 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이전 부지 계약 보증금을 납부했다.

광주시는 관내에서 땅값이 저렴한 전남으로 이전하는 금호타이어측의 입장을 수용하면서 이전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1년이 지나도 상황은 나아지지 못했다. 1조2000억 원에 달하는 이전비용이 걸림돌이 됐기 때문이다.

금호타이어는 공업 지역인 공장 부지 용도를 상업지역으로 변경해 이전 비용을 마련할 계획이다.

광주시도 용도 변경으로 생긴 땅값 상승분 차익의 40∼60%를 공공 기여 형태로 내놓는 사전협상제도 활용에는 공감했으나 현실적이 벽에 부딪쳤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도시지역 내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대상 지역은 유휴토지 또는 대규모 시설의 이전 부지로 한정됐다. 공장을 먼저 비워야 만 협상 대상이 될 수 있다.

기존 사전협상 사례인 옛 호남대 쌍촌캠퍼스 부지, 옛 전방·일신방직도 해당 시설 운영이 중단된 상태에서 협상이 이뤄졌다.

금호타이어는 연중무휴로 가동되는 제조업 특성상 기존 공장을 비우고 새 공장을 신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공장을 가동하면서 생산 라인을 점진적으로 옮겨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KTX 투자 선도지구로 지정된 송정역세권 개발을 바라는 지역 사회나 광주시도 내심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광주시 관계자는 "시 입장에서는 법의 범위에서 처리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며 "다른 지자체의 경우 공장 이전 시 폐쇄 증명서까지 요구하기도 하는 상황에서 법적으로 협상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토지의 용도 변경을 먼저 해준다면 특혜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컨소시엄과 계약이 무산된 것은 아니다"며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광주시와 협의해 해법을 지속해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