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치매환자 84만명인데, '1등급' 치매진료 기관은 25%뿐
심사평가원, 2021년 치매 적정성평가 결과 첫 공개
신규 치매 외래 환자 진료한 889개 의원급 기관 조사
종합점수 평균은 72.9점, 종합점수 1등급은 전체의 25.1%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우리나라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약 84만명이고, 연간 국가치매관리 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0.9%에 달하는 총 17조3000억원으로, 이 중 진료비용이 약 2조8000억원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는 조기에 진단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 증상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지만, 전국 치매 치료 기관 중 '1등급' 기관은 전체의 25% 수준에 불과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8일 ‘1차 치매 적정성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전체 평가대상 기관의 25.1%에 해당하는 223개 기관이 1등급을 획득했으며 전체 기관의 종합점수 평균은 72.9점이었다. 종합점수 1등급은 전체의 25.1%인 223기관이며,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평가지표 중 치매 진료 의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치매 관련 교육을 이수한 의사의 비율은 전체 80.9%로 나타났다. 신규 치매 외래 환자 중 구조적 뇌영상검사(CT 또는 MRI)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 63.9%이며, 필수 혈액검사 27항목을 모두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의 35.7%였다. 또, 선별 및 척도검사는 시행률이 전체 91.6%이고, 의원은 전체 87.1%로 다른 종별보다 낮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모니터링지표는 5개로 치매 증상 및 질병의 경과를 평가하는 ▷신경인지기능검사 시행률 ▷이상행동증상 평가 비율 ▷일상생활장애 평가 비율 ▷항정신병 약물 투여율 ▷지역사회 연계 비율로 구성됐다. 이 중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 비율을 보는 지역사회 연계비율은 모니터링 결과 75.2%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를 더욱 활성화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치매는 만성 퇴행성으로 진행되며, 기억장애 외에도 사고력장애, 언어장애, 인격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에 중대한 지장을 주는 질환이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 규모 및 사회적·경제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다. 가정에서도 치료와 간병으로 인하여 가계 부담과 가족 갈등, 가족 해체 등 고통이 심화되고 있다.

치매는 조기에 진단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 증상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인구 고령화 심화로 매년 환자수와 진료비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치매 의료서비스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심평원은 신규 치매 외래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 및 적기 치료를 제공해 증상 악화를 지연시키는 등 치매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치매 적정성평가를 처음 시행했다.

정영애 평가실장은 “치매 적정성평가는 초기 치매 환자의 외래 진료를 대상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전문성에 중점을 뒀으며, 이번에는 첫 평가로 의료기관 종별 결과가 다소 차이를 보였다”고 전했다. 심평원은 이번 평가 결과 공개를 통해 국민들이 치매 초기부터 가까운 우수병원에서 치료하고 관리 받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평가를 진행하면서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