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조선 내년엔 웃는다?” 슈퍼사이클 본궤도 진입 주목 [비즈360]
‘고부가’ LNG 운반선 내년 하반기 발주 급증 전망
현대중공업·대우조선 노사 임단협 잠정 합의
삼성중공업 악성재고 처리 속도
“빅사이클 기대감↑, 경기침체 장기화는 변수”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드릴십의 모습. [삼성중공업 제공]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조선 빅3(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가 임단협과 악성 재고 등의 악재를 잇달아 해소할 조짐을 보인다. 내년 하반기부터 글로벌 조선시장의 슈퍼사이클(초호황기)이 예측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접어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업계와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전 세계 LNG 수요 확대와 러시아의 파이프 천연가스(PNG) 수출제한, 그리고 2010년 이전 발주 선박의 교체주기 도래 등으로 오는 2030년까지 총 610척에 달하는 LNG운반선의 신규 발주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기발주된 274척을 제외하고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67척의 선박 발주가 예상된다.

LNG 운반선은 전체 선박 중에서도 가장 고부가가치가 높다. 특히 한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건조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효자 선종’이기도 하다. LNG 운반선은 영하 163도 이하로 온도를 유지하고 기체로 소실되는 양을 최소한으로 해야 하는데 이 같은 기술력은 한국이 가장 앞서고 있다.

17만4000㎥급 LNG 운반선의 경우 대당 가격 역시 2년 전만 해도 1억8600만달러에 그쳤지만 최근에는 2억4800만달러(약 3275억원) 수준까지 급등했다. 현재 국내 조선 3사는 회사별로 LNG 운반선을 연간 20척가량 건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향후 지속적인 일감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내 조선업계에 낭보가 이어지고 있다. 첨예하게 갈등을 벌이던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노사가 극적으로 임금·단체협약에 잠정 합의한 것이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밤샘 본교섭을 진행한 끝에 지난 6일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8만원 인상(호봉승급분 2만3000원 포함 정액 인상) ▷지역·복지수당 2만원 인상 ▷성과금 타결 격려금 250만원 ▷100년 기업 달성을 위한 노사화합 격려금 100만원 등이 담겼다.

이어 같은 날 대우조선해양 노사도 임단협에 잠정 합의했다. 합의안에는 ▷기본급 8만5000원 인상(정기승급분 포함) ▷격려금 200만원 지급 ▷하기 휴가비 30만원 인상 등이 담겼다.

양사 노조는 오는 8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잠정합의안에 대해 찬반 투표를 할 예정이다. 다만 각 노조 내 분위기가 여전히 반반으로 갈리고 있어 파업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분위기가 나쁘진 않지만 부결될 경우 다시 노조와 교섭을 할 것”이라며 “여러 과정을 통해 협상을 재개하고 조율하겠지만 일단 (찬반 투표) 결과만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악성재고’로 남았던 드릴십(원유시추선)의 추가 처분에 성공하면서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전날 삼성중공업은 이탈리아 전문 시추선사인 사이펨에 ‘산토리니 드릴십’ 1척을 2991억원에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드릴십은 한때 1척에 가격이 6억달러를 넘기도 했지만 저유가 장기화 여파로 2014년 이후 신규 발주가 전무해졌다. 국내 조선사들이 2013년 수주했던 드릴십 유가 하락으로 잇따라 계약이 파기되면서 악성재고가 됐다.

지난 5월에도 삼성중공업은 국내 사모펀드가 설립한 큐리어스 크레테에 드릴십 4척을 1조원에 매각한 바 있다. 큐리어스 크레테는 삼성중공업이 보유한 드릴십을 매입한 뒤 시장에 되팔아 출자 비율과 약정한 투자수익률에 따라 배분한다. 이 중 2척은 이미 매각이 성사됐고, 잔여 2척 매각 협상도 진행 중이다. 잔여 매각이 완료되면 삼성중공업은 4500억원 상당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투자금까지 회수할 수 있다.

이봉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조선업계는)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빅사이클 도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건조선가가 올라가는 것은 실적에 긍정적이지만 인건비 부담은 위기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한 발주 둔화도 변수”라고 지적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