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총리, 5차 수소경제위원회 주재…“수소 발전 정책 본격 추진”
대규모 수소 수요 창출·대량 공급 기반 확충
산업계·학계 등 구성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
산업계 민간위원 3→5명으로 확대
한덕수(왼쪽) 국무총리가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박정국(오른쪽) 현대자동차 사장을 민간위원으로 위촉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 한덕수 국무총리는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했다.

한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새 정부는 수소경제 시대에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세계 1위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목표를 정하고 수소경제 발전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먼저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해 나가겠다”며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의 연료 전환, 수소 이동수단 보급확산, 철강 등 주력산업의 수소 적용 확대로 발전·수송·산업 전 분야에서 수소 활용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어 “원자력, 수전해 등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해 대량 공급 기반을 확충하겠다”며 “대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 수소 전용 배관망 확대 등 수소 유통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소사업법 제정, 합리적인 안전 관리방안 마련 등 수소경제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제도적 기반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수소경제위원회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며 8개 관계부처 장관, 산업계·학계·단체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다.

위원회는 수소경제 이행 관련 정책과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기업 의견을 수렴하며 국가 간 협력 등을 심의한다.

한덕수 국무총리(가운데)가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위원회는 지난 2020년 7월 처음 가동됐으며 이날 회의는 윤 정부 출범 후 첫 회의다.

이번 회의에서는 기존 민간위원의 2년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2기 민간위원 11명이 새로 위촉됐다.

산업계 민간위원이 기존 3명에서 5명으로 확대됐다.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박정국 현대차 사장,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김방희 제이엔케이히터 사장이 이날 위촉됐다.

학계 위원으로는 박상욱 서울대 교수, 김윤경 이화여대 교수, 조은애 카이스트 교수가 위촉됐으며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박상진 한국기계연구원장, 안미현 서울신문 수석논설위원 등 기관 전문가도 위원으로 임명됐다.

이날 위원회는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방안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심의·의결했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