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구감소 해법, 메가플랜 필요하나, 일단 관광에서 찾자
한국관광공사 지역 관광인재 양성착수
강원 정선, 전남 신안, 충남 공주 등지
일각선 인구감소 원해, 국토계획 더 중요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상당수 기초자치단체의 인구 감소는 어디 한두가지 문제로 벌어지는 현상이 아니다.

범정부의 국토계획의 지혜가 필요한 일인데도, 한국관광공사가 혹시 관광에서 무슨 해법이 없나 찾아보고, 지역 관광활성화 전문가를 양성하려는 모습은 가상하다.

인구감소의 원인으로는 대학과 산업의 서울 혹은 광역대도시 집중 현상이 가장 크다. 인접 중견 도시에 호재가 생겨 사람이 몰리면 나머지 지역은 인구가 더 줄어드는 설상가상의 상황이 된다.

인구감소가 문제인지도 인식하지 못하는 지자체와 주민도 많다. 일부에선 인구감소를 바라기도 한다.

출향인들은 토지와 집을 팔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혹시나 노후에, 혹은 후손이 다시 찾아와 살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다. 그래서 깡촌이라도 부동산 시세가 여전하다. 좀 떨어져도 위험하다. 대도시 부자들이 문어발식으로 매입하기 때문이다.

특정지역의 인구감소가 정말 문제라는 생각이 들면, 결국, 다시 20~30년전 국토균형발전 계획으로 돌아가, 대도시의 주요 산업, 공공시설을 인구가 별로 없는 곳으로 이전하는 것이 최선이다.

국토균형개발은 토지공개념 처럼, 순수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주의, 자유방임주의 경제로 풀 수는 없다. 부동산 투기에 대해, 온국민 분노하고 역대 모든 정부가 해선 안될 짓으로 규정한 것에서 잘 나타난다. 이걸 좀 공개념 도입한다고 하면 “빨갱이 정책”이라고 생떼 부리는 자들도 반드시 있어, 입막음도 해야 한다.

그래서 딱히 묘안을 떠올리지 못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한국관광공사는 관광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지역관광상품 기획을 통해 인구감소 대응방안을 모색해보는 온․오프라인 관광 교육과정을 11월 중 강원, 전남, 충남권역에서 실시한다. 가래로 못막는 것을 호미로 막아보려는 의지는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윤석열대통령실, 국무조정실, 행안부, 국토부 등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문체부도 인구감소 문제 해결 역시 자기 업무 중 하나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7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이 교육은 인구감소 지역의 미래형 관광인재 양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전국 인구감소 지역 중 총 3곳(강원 정선, 전남 신안, 충남 공주)과 인근 지역의 공무원과 유관 기관, 관광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3곳은 지역 내 관광소비금액 중 외지인 관광소비 비중과 지역관광추진조직(DMO) 등 공사 사업과의 연계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

춘천문화재단이 벌이고 있는 ‘당신의 빈집을 빌려주세요’ 프로젝트. 기사의 특정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데, 재단의 이 사업은 주민과 관광객의 호평을 받고 있다.

내용을 보면 1일차인 11월 10일엔 유튜브 라이브와 줌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으로, 지방소멸 대응기금 사업의 이해, 데이터 기반 관광정책 수립 등 이론 교육, 한국관광 데이터랩을 활용한 지역맞춤 관광현황분석 실습 교육이 진행된다.

2, 3일차는 권역별 오프라인 교육으로,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국내·외 지역관광상품 분석 및 전략 수립에 관한 강의와 실습이 진행된다. 정선군(생활문화센터 아리샘터) 교육은 11월 16일~17일, 광주광역시(아이플렉스) 교육은 11월 23일~24일, 공주시(충남STMD)는 11월 30일~12일 1일 일정이다.

참가 신청은 11월 9일까지 관광인력포털 ‘관광인’(academy.visitkorea)에서 받으며 권역별 20명 내외로 선착순 모집한다.

박영희 한국관광공사 관광미래인재양성팀장은 “이번 교육은 분야별 전문가 강의뿐만 아니라 실제 해당 지역 관광콘텐츠와 강, 약점을 분석해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주체적으로 수립하는 학습자 주도의 문제 해결형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향후 교육 내용을 현업에서 잘 적용할 수 있도록 활용가이드를 제공하고, 활용 우수사례 공유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교육 참가자가 교육내용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