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대출금리 1%p 뛰면 가계대출 26.8조 축소”
금리민감도 고소득차주가 더 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붙은 주택담보대출상품 안내 현수막 모습. 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한국은행이 물가안정과 주요국 긴축에 대응하는 금리인상 기조를 밝힌 가운데, 금리 상승이 가계 대출 증가폭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란 분석이 나왔다. 소득이 높거나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금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이후에 이러한 금리 민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조사통계월보 ‘가계대출의 금리민감도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2012년 이후 가계대출 변동(전기대비 증감)과 대출금리 간 움직임을 살펴본 결과 가계대출 변동 폭은 대출 금리 상승시 축소되고 금리 하락시 확대됐다.

금리 하락기보다 금리 상승기에 금리 민감도가 높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계대출 변동 폭은 26조8000억원 축소되지만, 하락 시에는 13조8000억원 확대됐다.

개별차주별로는 소득수준과 소득대비가계대비율(LTI)이 높고 비취약차주일수록 금리변화에 더 민감했다. 생계유지보다 부동산구입이나 사업자금 등의 목적으로 대출을 받는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고소득 차주의 대출 증가 폭은 221만원 줄었지만 중소득 차주는 56만원, 저소득차주는 38만원 감소하는데 그쳤다.

금리 민감도는 코로나19 이후 더 높아졌다. 고소득·고레버리지 등 금리 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대출 비중이 높아진데다, 코로나19 이후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레버리지 투자가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금리상승의 가계대출 억제 효과가 금융불균형이 축적된 상황에서 보다 뚜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및 금융불균형 완화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만 취약계층은 금리상승으로 채무상환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만큼 취약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