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업연합포럼 “대규모 R&D 없이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어려워”
미국·EU 대비 각각 3년·2.5년 기후기술 수준 뒤처져
“경쟁국 R&D⸱실증 지원 중…韓은 예산조차 미확정”

한국산업연합포럼(KIAF)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2050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평가 및 탄소 감축 R&D의 역할과 추진현황 점검’ 포럼을 개최했다.

송유종 KIAF 부회장은 “지난 정부의 NDC 목표는 이상적인 당위성을 기반으로 했다”며 “철강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석유화학의 바이오 기반 기초유분 생산 기술 등 온실가스 저감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R&D 예비타당성조사를 마무리해 탄소중립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아 녹색기술센터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탄소중립 기술은 태양광, 풍력, 건물효율화의 경우 유럽연합(EU)의 각각 90%, 75%, 80% 수준이고 바이오에너지, 산업효율화, 디지털화의 경우 미국의 78%, 81.5%, 80% 수준”이라며 “파편적으로 추진되는 국책사업을 정리하고 기후변화 콘트롤 타워를 신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R&D 투자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광하 KIAF 산하 미래산업연구소 소장은 “특히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업종은 2070년까지 감축해야 할 온실가스의 약 50%를 실증 및 시제품 단계에 기후기술로 감축해야 하기 때문에 기후기술에 대한 R&D가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김영주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상무는 “철강은 설비 1기에 최소 1조 원 이상이 투자되는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라며 “기업은 시험 장비 도입을 위한 부지, 원료, 상용화 등에 투자하고 국가는 개발·실증 단계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필요기술의 해외조달을 적절히 조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심상민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규모의 경제를 전제하지 않는 기술의 상용화는 어려운데 우리나라는 자연조건과 환경규제 등으로 적합한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며 “기술개발은 국내에서, 실증과 상용화는 해외에서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고 덧붙였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