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의사도 간호사도 부족...서울의료원 병상 3분의 1 ‘텅텅’
서울 공공의료 인력난 심각
간호사 정원대비 118명 부족
서울의료원 병상 66%만 운영
감염병전담병원 역할 맡으며
격무·임금 문제로 대거 퇴직
전문가 “해결 움직임 없으면
의료 기능 껍데기만 남는다”

서울의 ‘공공의료’를 책임지는 서울의료원이 인력난에 시달리면서 전체 병상 중 비가동 병상이 3분의 1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의료취약계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의료원에서 이런 상황이 계속되자 서울시는 임금체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21일 서울의료원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의사는 정원 180명 중 19명이, 간호사는 정원 800명 중 118명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의료원의 간호사 인력은 올해 1월 서울시 동부권역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며 전체 정원이 800명으로 늘었지만, 현재 재직 인원은 총 682명으로 정원에 118명 미달한 상황이다. 간호사 인력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었던 2021년과 2022년 두 해 동안 총 304명이 퇴직했다.

문제는 이런 의료인력 정원 미달이 ‘병상 휴업’을 부른다는 점이다. 서울의료원은 현재 600개의 입원 병상을 보유했지만, 의료 인력 부족으로 400개의 병상만 운용하고 있다. 통상 간호사 인력이 입원 병상 가동의 근거가 되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서 강도 높은 업무 강도의 지속과 임금 차별 문제로 인력 충원 부족 문제에 직면하면서 비 가동 병상이 많은 실정이다.

서울의료원의 경우 2020년 2월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며 의료진 업무 부담은 크게 늘었지만, 그에 따른 처우와 근로 여건의 개선이 병행되지 않았다는 게 의료원 관계자의 설명이다.

서울의료원 관계자는 “간호사의 경우 고된 일로 인해 사직 비율이 높은 직무인데다, 임금 불만족 등으로 인해 경력 간호사 채용이 어렵다”며 “신규 간호사는 계속 채용하고 있지만 업무의 허리 역할을 할 중견급 간호사가 없어 신규 간호사의 업무 과중으로 퇴사가 반복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거 퇴사가 이어지던 2021년, 서울의료원을 퇴사한 간호사 김모(30) 씨는 “당시 기존 간호사는 업무 강도는 높은데, ‘파견간호사(중앙사고수습본부 채용 간호사)’에 비해 현저히 적은 급여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며 “전해 듣기로는 급여가 2.5배 정도 차이가 났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어 김씨는 “당시 감염병전담병원 경력이 있는 인력을 원하는 대학병원이 꽤 있었다”며 “의료원에 불만이 있는데, 인력 수요까지 있으니 퇴사와 이직이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퇴직 의사 중 전공의의 경우 전공과목 외 진료에 투입이 늘어 ‘의료 수련 부족’이 가장 큰 퇴직 요인으로 제기됐다. 지난 2년간 전공과목이 아닌 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병원시스템이 돌아갔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매출 압박으로부터 자유롭게 진료를 할 수 있는 공공의료원의 여건 감소, 업무 강도에 비해 낮은 임금 등도 의료직 인원의 퇴직 원인으로 지목됐다.

서울의료원은 서울 권역 의료급여 수급권자 다수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의료’의 핵심 축으로 꼽힌다. 코로나19 이전 서울의료원 환자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24%로 전체의 4분의 1에 달한다.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국민 전체 중 3%인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료원은 서울 의료 취약계층의 큰 축을 맡고 있는 셈이다.

김윤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서울의료원 인력 부족은) 취약 계층의 건강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현재는 공공의료 붕괴 위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 대응에 공공병원들이 앞장섰는데, 감염병 환자를 집중해 관리하다보니 정형외과, 신경외과, 외과 등 전문의가 떠났다”며 “행정 당국가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구체적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진료 기능은 없이 껍데기만 남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한 ‘병상 휴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금 체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의료원과 시립병원의 인력난 문제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에 시립병원장 회의에서 관련 논의가 예정돼 있다”며 “서울의료원의 경우 임금 체계를 바꾸기 위해선 행정안전부 동의가 필요한데 관련 논의도 시 차원에서 긍정적 방향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김용재·이영기 기자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