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도체업계, 2026년까지 340조원+α 투자
尹정부 ‘민간투자 뒷받침’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 발표
정부, 세액공제 확대·규제개선 등 패키지 지원
판교 등 4만5000평 규모 소부장 클러스터 구축

반도체업계가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340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정부는 이 같은 민간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해 세액공제 확대·노동 및 환경 규제 개선·인프라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관련기사 3면

또 제2판교와 제3판교 테크노밸리, 용인플랫폼시티 등에 4만5000평 규모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업계가 주도하는 ‘반도체아카데미’를 올해 안에 설립하고 해외 반도체 우수 인력 유치 시 소득세 50% 감면 혜택기간을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기존 3%에서 10%로, 소부장 자립화율을 30%에서 50%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이 21일 경기 화성 동진쎄미켐 발안공장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관계부처 합동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우선, 향후 5년간 340조원 이상 민간의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대규모 신·증설이 진행 중인 평택·용인 반도체단지의 전력·용수 등 필수 인프라 구축비용에 대해 국비 지원을 검토한다. 또 반도체단지에서는 용적률을 최대 1.4배(350→490%)로 상향한다. 이를 통해 약 9000명(클린룸당 1000명 고용)의 고용 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반도체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노동·환경 규제도 개선한다. 현재 일본 수출규제 품목 연구·개발(R&D)에 허용되던 특별연장근로제(주 52시간→최대 64시간)를 오는 9월부터 전체 반도체 R&D로 확대한다. 화관법상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에 대한 규제도 연말까지 반도체 특성에 맞게 대폭 완화한다.

산업부는 반도체 인력양성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특별법에 따라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내년에 신규 지정해 교수인건비, 기자재, R&D를 집중 지원한다. 비전공 학생에 대한 반도체 복수전공·부전공 과정(2년)인 ‘반도체 브레인 트랙(brain track)’도 올해부터 30개교에서 운용한다.

업계가 주도하는 ‘반도체 아카데미’를 연내 설립하고, 내년부터 대상별(대학생, 취업준비생, 신입직원, 경력직원) 맞춤형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5년간 3600명 이상의 현장 인력을 양성하고, 민관 공동으로 10년간 3500억원 R&D 자금을 마련, 우수 석·박사 인재를 육성한다.

아울러 산업부는 이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동진쎄미캠 등 반도체업계와 ‘반도체 산학협력 4대 인프라에 관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주요 내용은 반도체아카데미 설립. 한국형 SRC 운영, 한국형 IMEC 운영, 소부장 계약학과 신설 등이다. SRC는 1982년 글로벌 반도체산업 내 미국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대학 연구능력 활용을 목적으로 설립된 미국반도체연구협회다. IMEC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설비를 보유한 세계 최고 반도체 연구기관으로, 벨기에에 위치해 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