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 역대최대 35조원 세수호황에도...나라살림 72조 적자
국가채무 5개월새 80조 급증
소상공인 지원등 지출증가 영향

올들어 5월말까지 소득세와 법인세를 중심으로 세수(국세수입)가 풍년을 이뤄 지난해보다 35조원 가까이 늘었으나 재정수지는 72조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등 정부 재정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앙정부 채무가 5개월 사이에 80조원 가까이 급증해 1020조원에 육박하면서 사상최대치 경신 행진을 이어갔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7월호)을 보면 올들어 1~5월 국가가 거두어들인 세금은 총 196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61조8000억원)보다 34조8000억원 늘었다. 기업 수입 확대에 힘입어 법인세가 23조원 급증했고, 소득세도 취업자 증가와 임금인상 등으로 9조1000억원 늘었다. 부가세도 3조7000억원 늘었으나, 교통세는 유류세 인하 등으로 2조6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 들어서도 역대 최대의 세수호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지만, 정부 지출은 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급증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 및 선별진료소 운영지원 등 추경 집행 등으로 올 1~5월 총지출은 342조5000억원으로, 1년전 같은기간(281조9000억원)보다 60조6000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국세수입에 기금수입 등을 더한 1~5월 정부 총수입(293조6000억원)에서 총지출(342조5000억원)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48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의 통합재정수지 적자폭(20조5000억원)보다 28조4000억원 더 늘어난 것이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제외해 실질적 재정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71조2000억원 적자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관리재정수지 적자폭(48조5000억원)보다 22조7000억원 더 늘어났다.

재정적자는 고스란히 국가채무 증가로 이어졌다. 5월말 현재 중앙정부 채무는 1018조8000억원으로 작년말(939조1000억원)보다 79조7000억원 급증했다. 올 4월에 1001조원으로 사상 처음 1000조원을 돌파한 후 한달 사이에 18조원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 행진을 지속했다. 이해준 기자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