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우조선 하루 날리는 돈만 ‘300억’ 이상…노조 파업 얼마나 심하길래 [비즈360]
전임직원 비상경영체제 돌입
불법행위 엄정처벌 촉구
부채비율 500% 넘게 급등
산은 컨설팅 결과발표 제동
매력도 감소에 새주인 찾기 난항
박두선(가운데) 대주조선해양 사장이 7일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하청지회 파업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하청 노조의 파업이 한달을 훌쩍 넘기며 장기화됨에 따라 재기를 모색 중인 대우조선해양의 ‘내상’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로 시작된 이번 파업으로 이미 수천억원의 피해가 나타났을 뿐 아니라 하루가 지날 때마다 320억원 가량의 추가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같은 노사 대치 상황은 이미 적자 상태인 재무구조를 더 악화시킬 뿐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새 주인 찾기 작업의 동력도 더 떨어뜨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조합인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지난달 2일부터 사내 각 협력사에 대한 노조 전임자 인정, 노조 사무실 지급, 임금 30% 인상, 상여금 300%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원 일부는 도크(건조 공간)에서 생산 중인 초대형 원유 운반선을 점거하고 농성 중이며, 다른 인원은 가로·세로·높이 1m 크기 철골 구조물에 들어가 있다. 나머지 노조원도 15∼20m 높이 철제 난간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경영 여건상 노조 요구안 수용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대신 협력사별로 교섭하자는 입장을 나타내면서 양측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도크 진수(물에 띄움)가 3주째 연기됐으며, 이로 인해 1도크에서 건조 중인 선박 4척의 인도가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다.

게티이미지

파업이 40일 가까이 이어지자 대우조선해양 경영진은 파업 중단과 노조의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을 촉구하며 배수진을 친 상태다. 임원 전체가 비상경영 동참을 결의했고 생산현장 직장, 반장들로 구성된 현장책임자연합회의 비상경영 동참 선언 등 재도약과 위기극복을 위한 전사적인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랜만에 찾아온 조선 호황,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 등 기회가 불법파업으로 인해 물거품이 되지 않도록 절박한 심정을 담아 간곡히 부탁한다”며 “지금 피해가 대우조선해양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전체 조선업으로 확산해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으므로 국가 기간산업에서 벌어진 모든 불법행위에 대해 철저히 수사하고 법질서를 바로잡아달라”고 호소했다.

대우조선해양 실적추이

대우조선은 불법파업으로 인한 피해액이 6월 말까지 2800억원을 넘어섰고, LD(인도 일정 미준수로 인한 지체보상금)를 고려하면 그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 진수 지연은 하루 260억여원의 매출 감소와 60여억원의 고정비 손실을 발생시킨다고 추산했다. 아울러 도크 폐쇄로 선후 공정의 생산량을 조정하면서 사내 직영 및 협력사 2만명, 사외 생산 협력사 및 기자재 협력사에 소속된 8만명 등 10만여명이 업무 수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4조5000억원 매출을 기록했지만 1조70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나타냈다. 올 1분기에도 1조2455억원 매출에도 4918억원의 적자를 냈다. 최근 업황 개선으로 LNG선 등의 수주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실적 반영에는 2~3년이 소요되고, 최근 강재 가격 인상 등으로 충당금을 많이 쌓으면서 마이너스 실적이 이어지고 있다. 2020년 167% 수준이었던 부채비율도 올 들어 523%(1분기 현재)로 급등했다.

김종훈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은 2021년과 2022년 1분기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며 재무구조가 저하됐다”며 “3월말 부채비율은 500%가 넘는데 신종자본증권(2조3000억원원)의 부채성을 감암하면 실질적인 재무구조는 지표 대비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올 초 현대중공업그룹과의 합병이 무산된 대우조선해양은 신규 인수 기업을 물색 중이다. 조만간 산업은행으로부터 받은 컨설팅을 토대로 경영정상화를 본격화할 계획이었지만 이번 파업으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치솟은 원가율, 악화된 재무건정성에 노조 리스크까지 심화된 상황이라 인수·합병(M&A) 매물로서의 매력도가 감소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