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외인자금 이탈 우려
금리·외환 보유고로 맞서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억제를 위해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까지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겠다는 뜻을 천명하면서 ‘초강달러 시대’를 예고했다. 달러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들 입장에서는 자국 화폐가치의 하락이다.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환율까지 급등하면 수입물가 부담과 함께 글로벌 자본이탈 위험이 커진다. 이에 맞서려면 통화정책(금리인상)과 외환보유고를 동원한 환율전쟁을 벌여야 한다.
6일(현지시간)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을 보면 “경제 전망상 제약적인 정책기조로 가는 것이 타당하다는 데 모두 동의했다”면서 “다음 회의에서 50bp(0.50% 포인트, 1bp=0.01%포인트) 또는 75bp의 금리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고 판단했다”고 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오르면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우리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원화 표시 매출액이 늘어나기 마련이지만, 환율 상승으로 인한 효과는 과거처럼 크지 않다는 것이 기업들의 분석이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 공장을 지어 현지 생산과 판매를 늘리고 있어 환율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독일과 일본 등 주요 경쟁국의 환율도 같이 하락하고 이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오히려 우리 처럼 원자재를 들여와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경제구조에서는 수입물가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은 “환율 상승으로 실리콘 웨이퍼, 희귀가스 등 반도체 원재료의 비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기료 인상도 앞두고 있는데 반도체 원재료비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게 에너지 가격”이라고 말했다. 김찬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까지 대외적인 강달러 압력이 추가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원/달러 환율 상단을 1300원대 중반까지 열어둬야 한다”며 “달러인덱스 바스켓의 60%를 차지하는 유로화 흐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현재 유로화의 가치는 1.0181달러까지 내려온 상태로, ‘1달러=1유로’의 패리티(parity, 등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윤호 기자
youkno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