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너지 LH-코레일 2개 포함
윤석열 정부가 재무위험기관에 에너지공기업을 대거 포함하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은 비(非) 에너지 공기업 중에선 드물게 재무위험기관에 포함됐다.
이들 기관은 수익성을 높이고 지출을 효율화할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자산을 매각하고 인력·조직을 재정비하는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 절차를 겪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두고 에너지 공기업들이 정부의 눈 밖에 나 이들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정조준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선정한 재무위험기관 14곳 중 12곳이 에너지 공기업이다.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발전5사 등 한전 자회사, 지역난방공사가 사업 수익성 악화(징후) 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석유공사와 광해광업공단, 가스공사, 석탄공사 등 자원 공기업은 재무구조 취약기관에 포함됐다. 이들 에너지 공기업 12곳을 빼고 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수익성 악화 기관에, 코레일이 재무구조 취약기관에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재무위험기관은 재무지표와 재무성과, 재무개선도 등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거나 부채비율이 200% 이상인 이른바 ‘투자 부적격’ 기관이다.
정부는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작성기관 중 금융형 기관을 제외한 27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해 약 절반인 14곳을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했다. 평가 작업을 마치고 나니 절반 가까운 공기업들이 빠져나간 가운데 에너지 공기업 12곳은 1곳도 빠짐없이 재무위험기관으로 들어갔다.
한전과 한국수력원자력, 5개 발전 자회사는 수익성 악화기관으로 분류됐다. 한전의 경우 고유가 상황에서 에너지 믹스 변화 등으로 재무구조가 악화한 점이 문제가 됐다.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5조9000억원 상당의 영업적자를 낸 것도 수익성 악화기관으로 선정된 배경이 된다.
LH 역시 비에너지 공기업으로선 유일하게 수익성 악화 기관에 포함됐지만, 상대적으로 관리 강도가 높은 대상은 아닐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수익성 악화기관보다 재무구조 취약기관을 더 우려스러운 시각으로 보고 있다. 이들 기관은 장기간에 걸친 수익성 악화로 취약한 재무구조가 굳어진 기관이 많다는 평가다. 이 중에서도 이미 자본잠식 단계로 들어간 석유공사와 지난해 부채비율이 378.9%를 기록한 가스공사에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레일 역시 구조조정 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시각이 많다. 지난해 1조1552억원 상당의 적자를 낸 데다 부채비율 역시 287.3%까지 올라 고강도 재정 건전화 계획을 요구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