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증시, 한국증시와 차별화 가속...반사효과는 언제쯤?
‘상하이 봉쇄’ 등 한국기업 직격탄
中정부 대규모 부양책도 지지부진

글로벌 증시가 반세기 만에 최악의 상반기를 보낸 가운데 중국이 유일하게 선전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국내 증시는 이 같은 반사효과를 전혀 누리지 못하는 모습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연초 이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 기준 상반기 승자는 중국이다. MSCI 중국 지수는 -11.4%를 기록했지만 미국(-20.8%), 유럽(-22.8%), 신흥국(-19.4%) 등에 비하면 단연 돋보이는 성적표다. 최근 한달 수익률은 중국이 6.6%로 주요국 증시 가운데 유일하게 상승했다.

반면 MSCI 한국 지수는 연초 이후 23.3%, 최근 한 달 새 14.2% 떨어졌다.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특성 때문에 중국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던 걸 감안하면 정작 수혜는 못 보는 상황이다.

증권가에서는 중국이 2분기 ‘제로 코로나’ 정책을 펼치면서 대규모 봉쇄를 단행한 탓에 우리 기업들 실적에 도움을 주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한다. 여기에 지난 5월 대중 무역수지가 1994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점도 한중 증시의 차별화로 이어지고 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과 미국 증시는 코로나19 이후 많이 올랐다 떨어진 것이고 중국 증시는 최근 올라오는 상황”이라며 “경기 지표의 방향성은 중국이 개선되고 있지만 절대치로 보면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6월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4.1를 기록했다. 지난 4월 42.7과 5월 48.4에 비해 상승 흐름을 보이며 ‘위축’에서 ‘확장’으로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 PMI가 53.0이란 걸 감안하면 중국 경기가 좋아지고는 있지만 완전히 좋아졌다고 말하기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증시를 끌어 올리는 동력 중 하나인 중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에 대한 신중한 움직임도 우리 증시에 당장 수혜를 주지 못하는 이유로 꼽힌다. 이와 관련 제로 코로나 정책을 병행해야 하는 부담, 실업률 급등으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 과도한 부양책에 따른 부작용 경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베이징 지하철 이동량이 다시 하락세를 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타지역으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될 가능성과 이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들이 유지되면서 회복 모멘텀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증시의 반등을 위해서는 대들보인 반도체 기업의 업황 개선을 비롯해 중국 대형 기술주들의 분발도 필요하다는 분석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빅테크를 중심으로 한 IT투자 사이클 개선 강도가 강해져야 국내 반도체 IT 업황의 반등 모멘텀이 가시화될 것”이라며 “이는 순차적으로 국내 경기사이클의 하방 압력 둔화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우영 기자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