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경제복합위기 상당기간 지속” 우려
고물가·고금리·자산시장 약세로 수요 위축
하반기 국내외 경기침체 본격화 경고등 켜져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인플레이션 현상이 장기적으로 이어지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보복소비 여파로 일부 활기를 찾은 서비스업 경기가 휴가철과 추석 등에 반짝 반등할 수는 있지만 기조적 약화 가능성이 많다. 고물가·고금리로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약세로 역(逆) 자산효과가 본격화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도 비상이 걸렸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 금융수장들과 조찬간담회를 열고 “현재의 복합 경제위기 상황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비상한 경계감을 가지고 주요 이슈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공동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지만 경기침체의 어두운 그림자를 걷어낼지는 미지수다.
4일 기획재정부 내에서는 물가가 곧 6%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문제는 물가 상방이 아직도 열려있다는 것이다. 현재 물가상승세를 이끄는 공급 측면은 안정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는 현재진행형이고, 공급망 불안도 여전하다. 여기에 7월과 8월 휴가철을 맞아 소비가 일시적으로 늘어날 수 있고, 이후 9월엔 추석을 맞아 성수품 수요가 몰릴 수 있다. 공공요금인 전기요금과 가스요금도 동시에 인상됐다.
더 큰 문제는 그 이후다. 정부는 물가와 함께 저성장을 걱정하고 있다. 3분기 물가가 역대 최고점을 찍고, 4분기에도 물가상승세가 안정되지 않으면 결국 종래엔 수요 위축이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도래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다.
한 고위 관계자는 “고물가 상황 이후엔 저성장이 우려된다”며 “고물가가 사라진 뒤 저성장이 도래할 수도 있지만, 어쩌면 두 선수(고물가·저성장)가 함께 닥칠 수도 있다”고 표현했다.
전세계적으로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수요를 일부 포기하는 경향도 있다. 미국이 대표적으로 이같은 행태를 취하고 있다.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경기가 일시적으로 침체하더라도 시장에서 과도하게 생겨난 기대 인플레이션을 일단 차단해야 한다는 취지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그것(경기후퇴)은 확실히 하나의 가능성”이라며 “경기후퇴를 일으킬 의도는 없지만 그 가능성이 존재하며 연착륙은 매우 도전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도 최근 ‘미국 경제가 연착륙·경착륙·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 속 경기후퇴) 가운데 어디로 향해 가는가’ 보고서를 통해 “필연적 인과관계는 아니고 일부는 시차도 있었지만, 1950년대 이후 모든 경기후퇴는 장기간 금리 인상 후에 일어났다”며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이 높고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는 연착륙보다 경착륙이 더 흔하다”고 설명했다.
지금도 우리나라 수요는 거리두기 해제로 인한 보복소비 등 일시적 요인이 이끌고 있다. 소득이 늘어나고 경기가 좋아 생겨난 기조적 흐름이라고 보기 어렵다. 통계청 2022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생산 증가는 서비스업(1.1%↑)이 주도했다. 특히 숙박·음식점 4.3%, 예술·스포츠·여가 6.5% 등 대면서비스가 상위 증가 업종에 포함됐다. 재화소비를 의미하는 소비(소매판매)는 오히려 전월대비 0.1% 감소했다.
흔들리는 자산시장도 수요위축 현상이 생겨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을 보탠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해 5월 3203.92에서 올해 5월 2685.90까지 떨어졌다. 주가 하락으로 올들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사라진 시가총액이 500조원에 이른다. 이중 상당부분이 개미투자자 또는 펀드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이다. 금리인상으로 부동산시장도 조정국면에 들어가며 가계를 압박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전세계적 금리인상 속도전 대열에 합류하면 자산시장은 더 흔들릴 수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인플레이션이 계속 일어나면 언젠가 소비도 제약될 수밖에 없다”며 “소비는 방역이 완화되면서 최근 플러스로 돌았어야 했는데 연속적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는 것이 불안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물가로 인해 미국에서 이미 소비가 침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가 된다”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