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하위 20% 소비 중 식료품·에너지 비중 커져
주거·수도·광열 22.7% 차지, 연료비만 8.7% 소비
고물가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고통이 심화하고 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 물가가 오르면서 서민층이 겪는 체감 인플레이션 고통이 앞으로 더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출목적별로 봤을 때 두 항목은 1분위(소득하위 20%) 소비지출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취약계층은 더 어려운 시기를 맞을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유류세 인하나 수입 관세 및 일부 품목의 부가가치세 인하 등 전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보편적 재정 지원에서 벗어나 피해·취약계층을 타깃으로 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3·4·12면
27일 통계청 ‘소득 5분위별 가구당 가계지출 전국 1인 이상(2022년 1분기)’ 통계에 따르면 1분위(소득하위 20%)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에 25만1783원을 지출했다. 총 소비지출의 21.7%에 달한다. 주거·수도·광열엔 26만3274원(총 소비지출의 22.7%)을 사용했다. 두 항목의 합계는 44.4%에 달한다. 특정 항목 쏠림현상이 비교적 강한 셈이다.
반면 5분위(소득상위 20%)는 비교적 쏠림이 덜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 비중이 높기는 했지만 13.2%(57만5028원) 수준이다. 주거·수도·광열(46만9890원)은 10.8%, 교통은 47만8752원으로 11.0%, 교육은 57만5029원으로 13.2%, 음식 및 숙박은 57만7439원으로 13.3%를 나타냈다.
최근 고물가 현상이 에너지와 식료품에서 시작돼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민층의 경제적 고통이 더욱 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명박 정부 시절 물가관리를 위해 52개 생필품·서비스로 묶어 구성한 ‘MB물가지수’로 보면 서민층이 주로 이용하는 품목 상승률은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식자재 상승률이 크게 뛰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
지난달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을 보면 무가 31.3% 오른 것을 비롯해 밀가루는 26.0%, 배추는 24.0%, 식용유는 22.7%, 돼지고기는 20.7%나 상승했다. 쇠고기 15.3%, 마늘 11.6% 등도 오름세를 기록했다. 라면(9.8%), 빵(9.1%), 설탕(8.9%)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비교해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5배 정도 급등한 셈이다.
에너지 가격은 더욱 심하다. 등유(60.8%), 경유(45.8%)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상승폭을 보였다. 소주는 9.4%, 우유는 6.9% 상승했다. 전기 요금(11%)·도시가스 요금(11%) 등 가격도 상승했다.
특히 주거·수도·광열 세부 항목인 연료비 소비비중 격차가 크다. 1분위는 10만288원으로, 소비지출의 8.6%를 연료비로 사용했다. 5분위는 16만6915원으로, 3.8%에 불과하다. 2018년 1분위 연료비 소비비중은 5.1%였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