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CJ대한통운, ‘물류 신기술’ 특허 잇달아…물류 혁신 가속도
오더피킹 최적화·자동화 설비 개발
알고리즘 개발 통한 시스템 고도화
작업자 근무 강도 감소…무인화 기대
CJ대한통운 동탄 풀필먼트센터에서 ‘AI 로봇 디팔레타이저’가 박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옮기고 있다. [CJ대한통운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CJ대한통운이 알고리즘을 활용한 물류시스템 관련 특허를 잇달아 등록하면서 물류 첨단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대한통운은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오더피킹 최적화 방법 ▷이기종 물류 자동화 설비의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디팔레타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등 최첨단 물류기술에 대한 특허를 연이어 등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오더피킹 최적화 방법’은 다양한 상품을 여러 곳에 보관하는 풀필먼트 서비스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피킹 작업을 지원하는 알고리즘이다.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창고에서 고객의 주문 단위별로 물품을 출하하는 과정으로, 피킹 카트 또는 로봇이 최적 동선을 찾아 이동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의 핵심이다.

디팔레타이저(팔레트에 적재된 박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옮기는 로봇) 시스템도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물류 현장에 접목했다. 특히 중복 피킹이 가능한 상품끼리는 AI가 그룹화하고, 각 그룹 간 최적 작업순서를 지정하는 등 알고리즘 기술로 생산성을 높였다. 작업자들이 꺼리는 단순반복 작업도 로봇이 대신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운영 최적화다. WCS(Warehouse Control System·물류 자동화 설비 통합관리 시스템)는 입고·출고·재고를 관리하는 물류센터 관리 시스템인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각 기술과 연결하는 중추신경 역할을 한다. CJ대한통운은 각 설비를 연결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자체 개발해 호환성 유지와 연동성을 함께 높였다.

다품종 소량 주문 비중이 높아지며 물류 운영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첨단 물류 시스템은 풀필먼트 서비스의 출발이자 기술의 총체로 주목받고 있다. CJ대한통운의 풀필먼트 서비스가 단순히 기술 도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첨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는 이유다.

김경훈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고객 주문 상품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빅데이터, AI를 바탕으로 한 첨단 물류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핵심 기술 개발과 확보를 위해 인재 영입과 더불어 지속적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