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G7 선진국은 모두 줄였는데…작년 한국은 채무비율 2.5%P↑
초과세수 불구, 재정확장 지속 영향
G7, 코로나 긴급 회수 재정 정상화

미국과 일본 등 지난해 주요 7개국(G7) 모두 일반정부 채무 비율을 줄인 반면, 우리나라는 61조원이나 되는 초과세수를 걷고도 채무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7개국이 코로나19 첫해 비상 상황에서 가동한 긴급 지원조치를 회수, 재정 정상화에 착수한 반면 우리나라는 재정확장 정책을 지속했기 때문이다.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캐나다, 이탈리아 등 G7, 선진 7개국은 한 나라도 빠짐없이 지난해 일반정부 채무비율을 줄였다. 일반정부 채무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와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 비율을 의미한다.

이탈리아는 일반정부 채무비율을 지난해 175.0%로 2020년(185.5%) 대비 10.5%포인트나 줄였다. 캐나다 역시 같은 기간 일반정부 채무비율을 9.6%포인트(126.9→117.3%) 감축했다. 프랑스는 일반정부 채무비율을 7.9%포인트, 미국은 6.5%포인트, 영국은 6.0%포인트 줄였다. 국가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일본도 일반정부 채무비율을 0.4%포인트 줄이는데 성공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일반정부 채무비율은 45.4%에서 47.9%로 2.5%포인트 올라갔다. 채무비율의 상대적인 수준은 선진국의 절반에 못 미치지만, 남들이 모두 채무를 줄일 때조차도 나 홀로 재정 브레이크를 밟지 못했다.

비교 대상을 OECD 39개 회원국으로 넓혀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OECD 회원국의 일반정부 채무비율은 2020년 130.5%에서 2021년 125.0%로 5.5%포인트 낮아졌다.

코로나19 위기의 정점인 2020년에서 경기 회복 첫해인 2021년 사이 국가채무비율이 늘어난 나라는 39개국 중 7개국뿐이었다. 일반정부 채무비율이 7.5%포인트(70.0→77.5%) 늘어난 아이슬란드, 2.8%포인트(56.0→58.8%) 늘어난 라트비아에 이어 한국은 3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채무 비율이 줄어든 것은 경기 회복에 따라 세입이 늘어나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당시 특단의 재정지출을 회수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한국의 경우 2021년 예산안 편성 당시 예측보다 세수가 61조4000억원이나 더 들어왔지만 국가채무 증가 속도를 줄이지 못했다. 들어온 돈 이상을 썼다는 의미다. OECD는 이런 상황이 앞으로도 당분간 개선될 기미가 없다고 봤다. OECD는 2023년 한국의 일반정부 채무비율이 51.1%로 2020년의 45.4% 대비 5.7%포인트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