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동화 늦어지면 성장동력 잃을수도…지원 늘리고 규제 개혁해야”
제26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정만기 “국가 차원 대응 필요”
자율주행 누적 거리 턱없이 부족…“실증사업 확대” 목소리도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이 13일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열린 제 26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연합회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KAIA) 회장이 “대량 자율주행 데이터 축적을 위한 광범위한 테스트베드 구축과 공유차량 서비스 관련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과감한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미래 모빌리티와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13일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열린 제 26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전동화 전환에 뒤처질 경우 모빌리티 분야에서 성장동력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전동화는 세계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지능화, 고속화, 개별화는 늦어지고 있다”며 “IT(정보통신)기술 접목으로 지능화·개별화는 물론 교통수단 간 통합화가 빨라져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해졌다”고 진단했다.

전동화는 내연기관차가 전기차(BEV), 수소차(FCEV) 등으로 대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현대차의 경우 지난해 35만대의 전동화 차량을 판매해 세계 5위 업체로 부상했다. 특히 수소차(FCEV)는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전동화에 필수적인 데이터 축적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 전체의 자율주행 누적 거리는 72만㎞로, 지난 2020년 3200만㎞를 기록한 미국 웨이모와 지난해 2100만㎞를 달린 중국 바이두보다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정 회장은 인력양성체제 혁신을 주장했다. 그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력은 한국이 1000명에 불과하지만, 미국은 2만3000명에 이른다”면서 “데이터,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전문가, 수소·모터 관련 기술 등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서형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GM크루즈는 무인자율차의 유료승객탑승 서비스에 대한 캘리포니아 허가를 최초로 획득해 곧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며 “한국도 자율차 유료서비스 수익 모델과 정합성 검증을 위해 다양한 실증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혁 시티랩스 이사는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데 소요되는 매몰비용 인정 등 지원이 필요하며 데이터 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김영국 한국교통연구원 미래차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미래 모빌리티로의 전환은 자동화, 탈탄소화, 공유화·통합화가 통합적으로 병행 추진돼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운수, 정비, 주유 등 후방산업 포함 이해관계자 간 사회적 합의와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퍼스널 모빌리티, 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 또한 기존 교통체계와의 연계는 물론 안전과 편리를 고려한 환승 체계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3일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열린 제 26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연합회 제공]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