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성미의 현장에서] 중소형PE 부진, 남의 일이 아니다

중소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는 지난 2019년부터 2021년 사이에 134% 증가했다. 지난해 사모펀드(PEF) 운용사의 약정금액이 116조원에 이르는 등 덩치가 크게 불어난 만큼 업무 집행사원(GP)의 숫자도 급증한 모습을 보인다.

유동성이 풍부했던 지난 몇 년간은 PEF 운용사가 우후죽순 생기는 것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금리 인상, 투자 경색 등의 시장 환경에 사모펀드법 개정 등으로 출자 문턱까지 높아지면서 자금 모집에 비상등이 켜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2차전지 관련 한 기업이 올해 들어 투자 유치에 실패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공장 증설 등을 위해 약 4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섰으나 현재 절반도 채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모 당시만 해도 공모가를 인상하는 등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던 이 기업은 불과 몇 달 사이 차갑게 식어버린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었다. 중소형 PEF 운용사들은 이 회사의 성장성을 보고 투자에 나서기로 했으나 펀드를 결성하지 못하여 투자 계획을 철회하게 된 것이다.

연기금, 공제회, 증권사 등의 기관투자자들은 금리 상승과 증시 부진에 대체 투자에도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캐피털회사들은 조달금리에 민감하다 보니 보장 수익률이 맞지 않아 출자를 보류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난해 말부터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PEF 운용사는 정말 ‘기관투자자’에게만 출자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출자를 받을 수 있는 대상 자체가 줄어든 셈이다.

모두가 지갑을 닫은 건 아니다. SK 등 대기업이 쏟아내는 조 단위 거래에는 투자 참여자들이 문전성시다. 대기업 투자가 중소·중견기업 투자보다 안전할 것이란 판단이다. 이는 PEF업계도 마찬가지다. 대형사의 자금 조달은 순항하고 있지만 중소형사는 펀드 결성에 애먹고 있다. 양극화는 이미 지난해부터 진행되고 있다. 중소형 GP의 수는 최근 3년 새 134% 증가했으나 약정액은 91% 증가에 그쳤다. 31개의 대형 GP(전체의 7.9%)의 운용 규모가 전체의 57.6%를 차지하는 것을 봐도 중소형 GP 간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시사한다.

이런 현상은 올해가 지난해보다 더 심화될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사모펀드 업계의 사정도 팍팍해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중소형 GP의 펀드 결성 길이 막히면 산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상당할 수 있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빅 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한국판 뉴딜(디지털·그린·지역균형) 등 중소·중견기업의 투자 유치가 어려워진다. 시장 자율적 구조조정 에너지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말 기준 중형 GP는 161개, 소형 GP는 212개다. 올해 시장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중소형 GP의 성과도 극명히 갈릴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이 중 몇 개의 GP가 시장에 남아 있을지 주목된다.

miii0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