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중 통화량 3년 6개월 만에 첫 감소
금리인상에 신탁·MMF 자금 빠져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펼쳐보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3월 시중에 풀린 돈이 3년 6개월 만에 전월 대비 감소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 유동성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한국은행의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3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658조5000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4조1000억원(0.1%) 감소했다.

M2 기준 통화량이 전월보다 줄어든 것은 2018년 9월(-0.1%) 이후 3년6개월만에 처음이다. 그러나 1년 전과 비교하면 M2 규모는 10.8% 많아, 시중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한 상태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8조2000억원, 수익증권이 5조6000억원 늘었다.

하지만 시장금리 상승으로 수익률이 떨어진 금전신탁과 MMF에서는 각 10조5000억원, 8조9000억원이 빠져나갔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5조2000억원의 통화량이 불었고, 기업에서도 대출 증가와 함께 12조1000억원 늘었다.

반면 증권·보험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는 23조3000억원이 감소했다.

정진우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차장은 “가계대출이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고, 증시 등 자산시장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M2 증가율도 둔화되는 추세”라며 “아직 확연하게 꺾인 것은 아니라 향후 추이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채권 수익성 하락과 수신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최근 가계·기업의 자금이 채권 투자 비중이 큰 MMF 등에서 정기 예·적금 등으로 옮겨가는 추세인데, 이 과정에서 일부는 M2 기준 통화로 잡히지 않는 2년 이상 정기 예·적금이나 주식 등으로도 빠져 결과적으로 M2가 줄었든 것으로 봤다.

넓은 의미의 M2 통화량과 달리,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은 1358조9000억원으로 한 달 새 0.4% 늘었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